AWS RDS 연습하기

이철호·2023년 12월 28일
0

소개

AWS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AWS RDS는 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합니다.

특징

  • 관리의 간소화: AWS RDS는 데이터베이스 인프라의 관리를 AWS가 담당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AWS RDS는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AWS RDS는 수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확장할 수 있으므로, 성능과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생성 방식 및 엔진 옵션

  • 표준 생성: 내가 직접 설정을 다 해줘야 한다.
  • 손쉬운 생성: AWS 에서 직접 설정을 다 해주기 때문에 보안 및 안정성이 좋지만 비용이 부과될 수 있다. ( MySql 8.0.35 버전 사용)

템플릿

  • 연습이라 프리티어 사용하겠음

설정

  • DB 인스턴스 식별자 -> DB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
  • 마스터 사용자 이름 -> DB에 로그인 할때 사용하는 이름이라서 분실하면 안됨
  • 마스터 암호 -> 직접 생성해서 관리 하도록 함

인스턴스 구성 및 스토리지

  • 인스턴스 클래스 -> t3가 가장 낮은 버전이다.
  • 바꿀 것 없이 기본 설정을 따른다.

연결

  • 퍼플릭 액세스 만 "예" 로 바꿔서 EC2 가 아닌 다른 곳에서도 접근이 되도록 허용한다.

데이터 베이스 생성을 시작한다.

한글설정

파라미터 그룹

  • 파라미터 그룹 버튼을 클릭한다.

  • mySql 맞는 버전을 선택한 후 이름을 고른 뒤 생성한다.

  • 편집을 버튼을 클릭한다.

  • utf8 로 전부 변경한다.
  • collation_connection 과 collation_server 도 utf8_general_ci로 변경해준다.
  • 변경사항을 확인한다.
  •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로 돌아와서 "수정" 버튼을 클릭한 뒤 "데이터베이스 옵션" 에 가서 파라미터 그룹을 직접 만들었던 설정으로 연결한다.
  • 다음 화면에서 "즉시 적용" 을 클릭해야 바로 적용되는걸 볼 수 있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한단계씩!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