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 코드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각 코드는 특정한 의미를 가지며,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을 알려줍니다. 상태 코드는 세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숫자는 결과의 일반적인 유형을 나타냅니다.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
201 Created : 새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다.
204 No Content : 서버가 성공적으로 요청을 처리했지만, 반환할 콘텐츠가 없다.
400 Bad Request : 서버가 요청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요청이 잘못되었다.
403 Forbidden : 요청이 서버에 의해 거부되었다.
404 Not Found : 요청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다.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다.
503 Service Unavailable : 서버가 현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다.
Informational(1xx)
100 Continue: 서버는 요청을 받았으며 계속 처리할 준비가 되었다.
Redirection(3xx)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가 새로운 위치로 영구적으로 이동되었다.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새로운 위치로 이동되었다.
지금은 실제로 얼굴 보며 일하다 보니,
리퀘스트의 결과가 이런거였고 잘못 보냈다 등등의 변명?이 가능하지만
결과적으로 얼굴을 보지 않아도 되게끔 확실한 리스폰스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알아둬야 할 부분인데 잘 모르고 일하고 있는 주니어들이 많다고 한다.
두고 두고 보면서 계속 공부해야 할 부분.
++
발돋움 중인 예비 개발자 입니다.
태클 및 의견 공유 언제나 환영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