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Kubernetes 소개 (따배쿠 OT & 1일차)

이성훈·2022년 3월 7일
0

Kubernetes

목록 보기
2/5

오늘은 "따라하면서 배우는 쿠버네티스" 강의 1회차를 들은 내용을 정리한다.

링크는 다음을 참고하자.
따배쿠 1회차


#    참고 자료


강의를 듣는데에 필요한 링크를 정리해둔다.



#    컨테이너와 도커


  1. 컨테이너 만들기


  •   App.js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os = require('os');
    console.log("Test Server Starting...");
    var handler = function(req, res) {
        res.writeHead(200);
        res.end("Container Hostname: " + os.hostname() + "\n");
    };
    var www = http.createServer(handler);
    www.listen(8080);
    • 위 코드는 아주 기본적인 node 코드이다.
    • 기본적으로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node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하자.
  •   Dockerfile

    FROM node:12
    COPY app.js /app.js
    ENTRYPOINT {"node", "app.js"}
    • Dockerfile
      • 프로그램을 컨테이너로 만드는 파일.

    • FROM
      • 컨테이너에 필요한 재료를 말한다.
      • 위에 적혀있는 App.js 프로그램은 Node가 필요하기 때문에 Node를 가져오고 있다.
      • 뒤에 숫자는 태그 (컨테이너 버전을 구별하기 위한)를 뜻한다.

    • COPY
      • 기존의 app.js 소스를 컨테이너 내부에 app.js 라는 소스로 붙여 넣겠다는 의미이다.

    • ENTRYPOINT
      • 컨테이너를 실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실행시킬 프로그램을 말한다.
      • 현재 예시에서는 Node와 app.js를 자동으로 실행하겠다는 말이다.

    • 위와 같은 방식으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면 아래와 사진과 같은 모양처럼 된다.


  2. 컨테이너 이미지


  •   이미지 만들기

    • 컨테이너의 Snapshot (정적인 상태)을 Image 라고 한다.

    •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가 있다.

      docker build -t "컨테이너 이름"
      docker images
    •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로컬 저장소에 Docker image가 생성된다.


  •   원격 저장소에 이미지 저장하기

    • Docker hub

      • 위 그림과 같이 여러 컨테이너 이미지들을 업로드 시켜 놓은 공간을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사설 공간(hub)을 따로 만들어 사용한다.
    •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로컬 저장소에서 Hub로 이미지 파일을 올릴 수 있다.

       docker push "이미지 명"

  •   원격 저장소에 이미지 저장하기

dl

profile
IT 지식 공간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