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전글에서 공유기에서 내 개인피시로 포트포워딩 해주는것에 성공했었다. 그런데 내 서버는 가상머신에 넣어놨음으로 가상머신으로 포워딩을 한번 더해줘야한다.
공유기에서 내 컴퓨터의 8888번 포트로 포워딩 해줬으므로 가상머신으로 신호를 쏠때는 8888번 포트로 들어온다. 웹서비스는 가상머신의 8080포트에서 서비스 하고 있으므로 위사진의 3번과 같이 셋팅해줘라. Virtual machine IP address 에는 가상머신의 아이피 주소를 적어주면 된다.
서비스 하기 위한 8080포트를 열어주고
프로젝트 jar파일이 있는곳에 가서
nohup java -jar <프로젝트jar파일 이름> &
명령어로 실행시키고 Ctrl+c를 누르면 터미널창을 사용하면서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다.
프로그램 로그를 보려면 tail -f nohup.out 파일을 보면 되는데 이로그는 인텔리제이로 테스트 배포할때 볼 수있는 로그이다. ( 반가운 로그 )
이제 여러 케이스에서 배포한 사이트에 접속해보자
<가상머신주소>:8080으로 접속시 성공
<공인IP주소>:8000으로 접속시 안됨 -->이것땜에 포트포워딩 설정 잘못된게 아닌가 생각해서 뺑이침
<내부IP주소>:8888으로 접속시 성공
<공인IP주소>:8000으로 접속시 역시 안된다....
<공인IP주소>:8000으로 접속시 성공
<내부IP주소>:8888으로 접속시 성공
<공인IP주소>:8000으로 접속시 실패
1. http://www.codns.com/skin/board/faq/mw.proc/mw.print.php?bo_table=B05&wr_id=161#:~:text=%EC%82%AC%EC%9A%A9%EC%9E%90%EC%9D%98%20%EC%BB%B4%ED%93%A8%ED%84%B0%EC%99%80%20%EC%9B%B9,%2C%20NAT%20Hairpinning%2C%20NAT%20Reflection%2C
2. https://remnant24c1.tistory.com/191
이는 통신사가 제공하는 공유기에 NAT루프백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서 그런 것이다.
찾아보니 나뿐만이 아니라 다른사람도 이런많이 이런경험을 하고 있더라
서버 공인IP 배포같은경우에는 2년전 다른사람이 만든 리눅스로 배포수업을 할때에도 해보려고 했으나 시간, 인내, 배경지식 부족으로 못하였는데 마침 취업을 앞두고 시간이 생겨서 한번 해보았다. 해당 과제를 진행하면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오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