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자로 일하다보면 수도 없이 듣지만 그게 뭐냐고 물어보면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쿠버네티스이다. 해당 기록은 인프런의 쿠버네티스에 대하여 강의를 듣고 작성한 블로그이다.우선 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까? 이는 클라우드 기술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이해가 쉽

1. 기본 오브젝트 -Pod

위의 사진을 보면 몇개의 설정차이 (SSH, user)과 같은 요인들 때문에 각각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이다. 이를 해결하도록 나온 방법이 ConfigMap, Secret, Pod를 생성 시에 ConfigMap, Secret을 연결하면 Container의

각 노드들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지닌 객체 컨트롤러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지니고 있다.auto Healing: pod 또는 node에 이상이 생길 경우 다른 node에 pod을 생성auto Scaling: 한 pod의 처리량이 과중될 경우 실시간 모니터링 중인 contr

파드의 최초 상태를 결정한다.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나거나, 아예 설정을 하지 않으면 initialized 값이 True, 아니면 False로 설정된다.InitContainer: 본 컨테이너가 가동되기 위해 초기화해야하는 내용을 담는 컨테이너 파드가 어느 노드로 올라갈지

Quality Of Service => 리소스 할당과 관련된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사용된다.Pod 종류에 따라 어떤 pod의 자원을 가져올건지가 결정이 된다. 각 pod의 종류는 따로 설정한다기 보다는 Request, Limit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Guaranteed(

이전에 PV, PVC를 배웠는데 다시 기억해보자.PV: persistent volumn으로 볼륨의 크기,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Cloud Admin이 미리 구성한다.PVC: persistent volumn claim으로 기본적인 스펙 및 권한을 설정하고 개발자고 필요한

위의 예시 코드로 임시 웹을 배포했다.해당 코드로 dockerFile을 생성했다. 이러면 준비는 끝!우선 웹의 main을 실행해서 웹이 잘도아가는 파악하고 그 후 잘돌아가면 docker 이미지를 빌드해야한다.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빌드된다. 해당 빌드된 이미

Stateless Application(Web Server)App이 여러개 배포되어도 모두 서비스 역할을 할 수 있다.하나의 App에 트래픽이 집중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App에 트래픽을 나눠서 요청한다.각 App마다 Volumn이 필수는 아니고 여러

VM에 도커부터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쿠버네티스 connection refused 에러 해결 과정

쿠버네티스 설치 및 배포

git action을 이용한 ci/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