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세계 주요 지역에 IDC(Internet Data Center)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을 리전(Region),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리전(Region)
- 전세계에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축된 AWS 서비스 지역의 분류
- 가장 가까운 위치의 리전을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서비스 이용
- 필요하면 다른 리전도 선택 가능
- 우리나라 리전(Seoul, ap-northeast-2)
- 리전 별로 지원되는 기능이 다를 수 있음
- 각 Amazon EC2 리전은 다른 EC2 리전에서 격리되도록 설계 -> 가장 강력한 내결함성 및 안정성 달성
사용 가능한 리전
리전당 가용 영역의 수 및 매핑은 AWS계정마다 다를 수 있다.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를 의미함
- 하나의 리전에 다수의 가용 영역이 존재함
- 각 가용 영역이 위치한 데이터 센터는 리전 내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음 -> 재해, 정전, 테러 등 다양한 이유
- 현재 서울 리전은 4개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
- 인스턴스를 실행할 때 사용자가 직접 가용 영역을 선택하거나 AWS가 사용자를 위해 가용 영역을 선택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인 CloudFront를 위한 캐시 서버
- CDN 서비스는 HTML,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서버와 물리적으로 사용자들이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세계 곳곳에 위치한 캐시 서버에 복제해줌
- 멀리 떨어진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 것보다, 가까운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하는 것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