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앱패키징에 대해서

hong·2022년 5월 3일
0

조사

목록 보기
6/14

🔶어떤 구현 방식?

하이브리드앱

하이브리드 앱은 모바일 UI를 제작한 후(웹앱)
아이폰/안드로이드 웹뷰로 패키징하여 어플을 만드는 방식

웹으로 모든 기능 다 구현하고
안드로이드에 웹뷰 형태로 임베딩 하기만하면 됨!
그러면 push 기능도 사용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작업도 가능

*크로스 플랫폼은 네이티브 코드가 아닌 걸로 코딩하더라도 나중에 IOS Android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언어로는 google flutter, react react-native가 있다

🔶이용가능 개발도구 비교

  1. 아파치 코르도바(Apache Cordova) (구 폰갭Phonegap)
    : 코도바플러그인라이브러리를 사용. 코도바 프레임워크(cordova.js/phonegap.js)내에
    안드로이드 SDK와 iOS를 이용해 앱을 빌드, 폰갭과 명령어가 동일하다
    아파치 코르도바 개발문서
    장점 : 역사가 오래되어 커뮤니티가 방대하다
    단점 : 한번 개발할 때 코도바 전체를 빌드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은 테스트
    하기에 번거로움 (어느정도 오래걸리는지는 모름)

  2. 아이오닉 캐패시터
    : 앱 빌드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또는 Xcode에서 직접한 후 디바이스 또는 Emulator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다. AngularJS를 따라 만들어졌다.
    장점 : 초보 웹 개발자가 퍼블리시하고 빌드하기 쉽다, 바로바로 테스트가 가능하다
    Ionic은 앱 뿐만 아니라 프로그레시브 웹앱에도 적용 가능하고, 한번 작성한 코드는 별다른 수정없이도 iOS, Android로 빌드 가능하다. React Native가 각각의 모바일 기기의 플랫폼에 맞게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으며 그래서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단점 : angular(typescript)를 사용 (angular를 잘 알면 좋다)
    아이오닉 개발문서

🔶번외

apk 앱으로

장점 : 간단!
단점 : 기기에서 보안 위협이 있는지 검사 해제 <-- 를 해야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https://busyman.tistory.com/28 (이건 현재쓰는 방법인듯...)

ios

UIWebView & WKWebView

참고 링크
https://tyrannocoding.tistory.com/57
https://okky.kr/article/626989
https://m.blog.naver.com/illumulus/221651192381
https://footballnour.tistory.com/154
https://blog.woolta.com/categories/7/posts/114
https://noa-xyz.tistory.com/21
https://studioplug.tistory.com/370
https://boidevelop.tistory.com/93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