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속성 컨텍스트

everyday_99·2023년 1월 25일
0

JPA - 기본

목록 보기
3/15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

  • 영속성 컨텍스트는 논리적인 개념
  • 눈에 보이지 않는다.
  •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 접근

영속성 컨텍스트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하기
  • 영속성 컨텍스트
    •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
    •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이라는 뜻
    • EntityManager.persist(entity);

엔티티의 생명주기

  • 비영속 (new/transient)
    •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
  • 영속 (managed)
    •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
  • 준영속 (detached)
    •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 삭제 (removed)
    • 삭제된 상태

  • 1차 캐시는 한 트랜잭션 안에서만 기능하기 때문에 큰 이점은 없을 수도 있다.

  • 1차 캐시에 저장해두고 있는 상태
  • 쿼리가 발생하는 순서도 트랜잭션이 끝나면 쿼리가 발생한다.
  • 영속 엔티티의 동일성을 보장해준다.

  •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커밋하는 순간에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SQL을 보낸다.

  • 더티체킹 기능으로 인해 직접 업데이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됨
  • DB에 저장되어있는 내용과 현재 내용이 다를경우 트랜잭션이 끝나면 비교 후 업데이트 쿼리를 발생함
  • 명시적으로 저장을 하지 않는게 좋다.
    * ex) persist(entit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