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1월 1일 이후의 밀리초 수를 반환합니다.
그래서 보통 랜덤 숫자를 넣는 대신 이걸로 넣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Event 인터페이스의 target 속성은 이벤트가 발생한 대상 객체를 가리킵니다.
const button = document.createElement("button")
button.innerText = "❌"
button.addEventListener("click", deleteToDo)
function deleteToDo(event){
const li = event.target;
console.log(li)
} /// <button>❌</button>
이벤트가 발생한 대상 객체의 부모를 가리킵니다.
const button = document.createElement("button")
button.innerText = "❌"
button.addEventListener("click", deleteToDo)
function deleteToDo(event){
const li = event.target.parentElement;
console.log(li)
}
function paintToDo(newTodo){
const li = document.createElement("li");
li.id = newTodo.id } // 희한하다.. 이게 그냥 되네..
만약에 이런식으로 내가 함수를 만들었다면, li tag에 id가 그냥 추가가 된다.. 몰랐다....
이런식이면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 같다.
이건 좀 알아봐야 할 것 같다.
function saveToDos() {
localStorage.setItem("todos", JSON.stringify(toDos))
// console.log(localStorage)
}
const savedToDos = localStorage.getItem("todos")
if(savedToDos){
const parsedToDos = JSON.parse(savedToDos);
toDos = parsedToDos
parsedToDos.forEach(paintTo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