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Git

김훈익·2021년 4월 30일
0

Git

Git의 공식명칭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VCS)
프로젝트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문제 발생시 특정시점으로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다.

코드 버전 관리를 하는 이유?

  1. 수정할 때 마다 파일을 새로 만들면 관리가 힘들기 때문
  2. 언제든 이전 버전의 코드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
  3. 이력을 남기기 위해
  4. 하나의 프로젝트를 두고 여러명의 개발자들이 협얼할 수 있기 때문

Git 용어

Repository(저장소) 생성

git init Git의 시작으로 폴더 내에 숨겨진 .git 디렉토리를 생성

Local repository : 본인의 컴퓨터에 저장된 로컬 버전의 프로젝트 저장소
Remote repository : 내 컴퓨터가 아닌 외부 (일반적으로 원격 서버) 버전의 프로젝트 저장소로 프로젝트 코드를 공유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코드를 확인가능

Add & Commit

git status git 상태 확인
git add . 깃 파일안에 있는 파일 전체 임시저장
git commit -m "" 파일 수정 이력 기록
git log commit 이력 보기

Push

git push origin commit한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 올림

Clone & Pull

git clone https://주소 remote repository에 있는 내용을 통째로 다운
git pull origin

Branch

git branch "branch name" 브랜치란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
각각의 브랜치는 다른 브랜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 가능
👌git checkout -b 브랜치 생성 동시에 해당 브랜치로 이동

checkout

git checkout "branch name" 해당 브랜치로 이동
이전 브랜치의 변경 사항 및 commit의 영향을 받지않는다

Merge

git merge "branch nam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