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https://github.com/JaeYeopHan/Interview_Question_for_Beginner/tree/main/DataStructure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인 Array 자료구조는, 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한다. 따라서 index로 특정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찾고자 하는 원소의 인덱스 값을 알고 있으면 O(1)에 해당 원소로 접근할 수 있다. 즉 random access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삭제 또는 삽입의 과정에서는 해당 원소에 접근하여 작업을 완료한 뒤(O(1)), 또 한 가지의 작업을 추가적으로 해줘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린다. 만약 배열의 원소 중 어느 원소를 삭제했다고 했을 때, 배열의 연속적인 특징이 깨지게 된다. 즉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삭제한 원소보다 큰 인덱스를 갖는 원소들을 shift해줘야 하는 비용(cost)이 발생하고 이 경우의 시간 복잡도는 O(N)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Array 자료구조에서 삭제 기능에 대한 time complexity의 worst case는 O(N)이 된다.
삽입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첫번째 자리에 새로운 원소를 추가하고자 한다면 모든 원소들의 인덱스를 1씩 shift해줘야 하므로 이 경우도 O(N)의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료구조가 linked list이다. 각각의 원소들을 자기 자신 다음에 어떤 원소인지만을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만 다른 값으로 바꿔주면 삭제와 삽입을 O(1) 만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Linked List 역시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원하는 위치에 삽입을 하고자 하면 원하는 위치를 Search하는 과정에 있어서 첫번째 원소부터 다 확인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Array와는 달리 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단 삽입하고 정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 과정 때문에, 어떠한 원소를 삭제 또는 추가하고자 했을 때, 그 원소를 찾기 위해서 O(N)의 시간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결국 linked list 자료구조는 search에도 O(N)의 time complexity를 갖고 삽입,삭제에 대해서도 O(N)의 time complexity를 갖는다. 그렇다고 해서 아주 쓸모없는 자료구조는 아니기에, 우리가 학습하는 것이다. 이 Linked List는 Tree 구조의 근간이 되는 자료구조이며, Tree에서 사용되었을 때 그 유용성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