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gical AND (&&
) operator (logical conjunction) for a set of boolean operands will be true
if and only if all the operands are true
. Otherwise it will be false
.
More generally, the operator returns the value of the first falsy operand encountered when evaluating from left to right, or the value of the last operand if they are all truthy.
JSX 안에는 중괄호를 이용해서 표현식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그 안에 JavaScript의 논리 연산자 &&
를 사용하면 쉽게 엘리먼트를 조건부로 넣을 수 있습니다.
function Mailbox(props) {
const unreadMessages = props.unreadMessages;
return (
<div>
<h1>Hello!</h1>
{unreadMessages.length > 0 && <h2>You have {unreadMessages.length} unread messages.</h2>}</div>
);
}
const messages = ['React', 'Re: React', 'Re:Re: React'];
ReactDOM.render(
<Mailbox unreadMessages={messages} />,
document.getElementById('root')
);
JavaScript에서 true && expression
은 항상 expression
으로 평가되고 false && expression
은 항상 false
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
뒤의 엘리먼트는 조건이 true
일때 출력이 됩니다. 조건이 false
라면 React는 무시하고 건너뜁니다.
falsy 표현식을 반환하면 여전히 &&
뒤에 있는 표현식은 건너뛰지만 falsy 표현식이 반환된다는 것에 주의해주세요. 아래 예시에서, <div>0</div>
이 render 메서드에서 반환됩니다.
가끔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렌더링될 때 컴포넌트 자체를 숨기고 싶을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렌더링 결과를 출력하는 대신 null
을 반환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에서는 <WarningBanner />
가 warn
prop의 값에 의해서 렌더링됩니다. prop이 false
라면 컴포넌트는 렌더링하지 않게 됩니다.
function WarningBanner(props) {
if (!props.warn) {
return null;
}
return (
<div className="warning">
Warning!
</div>
);
}
class Pag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showWarning: true};
this.handleToggleClick = this.handleToggleClick.bind(this);
}
handleToggleClick() {
this.setState(state => ({
showWarning: !state.showWarning
}));
}
render() {
return (
<div>
<WarningBanner warn={this.state.showWarning} />
<button onClick={this.handleToggleClick}>
{this.state.showWarning ? 'Hide' : 'Show'}
</button>
</div>
);
}
}
ReactDOM.render(
<Page />,
document.getElementById('ro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