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리눅스 서버 기본 활용방안 (3)

HyeR·2024년 1월 28일
0

🌕 contents
01 cd 명령어
02 pwd
03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절대경로로 저장
04 cp 파일 복사
05 mkdir 디렉토리 생성
06 디렉토리 삭제 - rm
07 touch 빈내용 파일 생성
08 mv 이동/이름변경
09 find 파일 검색
10 프로세스 상태 확인 - ps
11 who 명령어 - 호스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12 프로세스 제어 - kill
13 cat 명령어
14 more 명령어
15 root 권한
16 history

01 cd 명령어

현재 자신의 위치 = .
부모디렉토리 = ..

02 pwd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이름 (절대경로로 표현)

03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절대경로로 저장

04 cp 파일 복사


05 mkdir 디렉토리 생성

새 폴더 한번에 만들기

06 디렉토리 삭제 - rm

-r : 하위 디렉토리/파일 모두 삭제
-f :

07 touch 빈내용 파일 생성

08 mv 이동/이름변경

우선 cp를 통해 파일을 복사함

mv를 이용해 3으로 이동
이름까지 변경하고 싶으면 mv test.txt ../3/move.txt 이런식으로

mv 명령어를 통해 파일 이름 변경

09 find 파일 검색

find ~ -name “move.txt”

~(home)디렉토리 전체를 뒤져서 move.txt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 검색

-size → -size 512c

~ ⇒ . 현재 경로도 가능

test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디렉토리를 검색하는데
첫번째꺼는 디렉토리 / 두번째꺼는 파일 검색

find ~ -name “move.txt” -type d
find ~ -name “move.txt” -type f

10 프로세스 상태 확인 - ps

-ef : 표준 구문으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 표시 → 가장 흔하게 사용

  • PID : 프로세스 아이디
  • PPID : 부모프로세스 아이디(이 프로세스를 생성시킨 프로세스)

11 who 명령어 - 호스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하나가 tty와 pts 둘다 잡고 있는거임

tty → 로컬로 접속한 사용자
pts → 원격으로 접속한 사용자

12 프로세스 제어 - kill

kill -9 : 강제 종료

파이어폭스 실행, 강제로 종료


13 cat 명령어

-n : 넘버링(줄)

grep -i : 대소문자 구분 없이 hello 전부 출력

grep -iv : 해당 문자 제외하고 전부 출력

14 more 명령어

: 화면단위로 출력
엄청나게 긴 파일

more 명령어 사용

스페이스바 한페이지씩 넘기기 / 엔터는 한줄씩 넘기기
q를 누르면 more에서 나와짐

/root 이런식으로 슬래쉬 뒤에 찾고자하는 문자열 작성하면 첫줄에 나옴

15 root 권한

sudo su → 비밀번호 입력

일반계정으로 돌아가기

16 history

-c : 히스토리 초기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