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01 리눅스 서버 종류와 특징
02 리눅스 쉘의 이해
03 리눅스 기본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는 서버 운영체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쓰는 운영체제는 개인용 운영체제(게임 혹은 문서작업용)
👉 System V계와 BSD계로 나뉘어 지며, System V는 상업 지향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BSD계는 연구 개발 지향적으로 개발 (현재는 두 장점을 모두 갖는 형태를 취함)
: System V, Solaris
→ 리눅스를 개발한 사람 = 리누스 토발즈
→ 타 운영체제와 달리 리눅스 커널과 다른 구성 요소가 무료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PC 또는 기타 장비에서의 이식성이 높음
→ 사유 유닉스에 반대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을 설립하고 유닉스의 복제본 GNU를 개발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사유 소프트웨어로 바뀌는 것을 막고자 GNU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라는 규정을 만듬
👉 레드햇 계열, 데비안 계열
→ 명령해석기
→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해 전달
→ 프로그래밍 기능, 쉘 스크립트, 환경설정
→ ID : kisec / PW : kisec123
→ CLI모드 진입 ctrl + alt + F2
→ 마우스 꺼내기 ctrl + alt
→ GUI 모드로 돌아가기 ctrl + alt + F1
배경화면 우클릭, Open in Terminal 클릭
☁️ 변경가능한 쉘 확인 ☁️
☁️ 다시 로그인을 해야 쉘 변경이 적용 됌☁️
☁️ 다시 로그인하는 방법 : su kise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