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 1. min(), max(), .join()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result = []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append(min(num_list))
result.append(max(num_list))
print(" ".join(map(str, result))) //.join을 하려면 str이어야 한다
방법 2. min(), max()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num_list), max(num_list)) //함수에 바로 list 적용
방법 3. sort()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num_list.sort() // 오름차순 정렬
print(num_list[0], num_list[-1]) // 처음값=최솟값, 마지막값=최댓값
• 방법1. 빈 리스트 result에 min/max함수를 이용한 값을 append하고 구분자를 공백으로 출력한다.
이때, ✨구분자.join(리스트)✨ 사용시 리스트의 문자형은 "str" 이어야 함을 주의한다!!
• 방법2. 굳이 다른 리스트에 최대/최솟값을 넣지 않고 리스트에 바로 min/max값을 적용해 출력할 수 있다.
• 방법3. 입력받은 숫자가 있는 리스트를 sort()를 통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리스트[0]=처음값=최솟값, 리스트[-1]=마지막값=최댓값 임을 기억한다.
- 리스트를 구분자를 넣어 문자열로 만들어 반환한다.
ex) _.join(['a','b','c']) // "a_b_c"
- 리스트안의 값은 반드시 str 형태여야하는데 map을 사용하면 유용하다.
ex) 구분자.join(map(str,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