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회차] 개별주 퀀트 전략:value & quality & price momentum 개별주 퀀트

About_non_work·2023년 3월 18일
0

개별주 퀀트 전략:value & quality & price momentum 개별주 퀀트

  • 지금까지는 ETF 퀀트만 다루었다. 개별 주식에 대해서도 퀀트를 적용할 수 있다.
  • 벡테스트 결과 매우 큰 수익률의 상승을 보인다.

value 전략

  • value 가 좋은 기업?
  • 기업이 현재 가격 대비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 (가치에 비해 얼마나 저 평가되어 있는가?)
    • 기업의 순이익,자기자본,매출액 등을 시가총액에 비교한 지표, 즉 PBR,PER, PSR ,PFCR 등의 지표가 좋은 기업을 의미합니다.

PBR (낮으면 좋다)

  • Price to Book Ratio
  • 시가총액(Price) / 순자산

시가총액

  • 한 회사의 (총 발행 주식 수) * (현재 시장 가격)
  • 해당 회사가 시장에서 차지하는 총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

순자산

  • 순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남은 잔액
  • 즉, 기업이 모든 부채를 상환한 후에도 남는 자본금을 의미
  • 순자산 = 자본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총자산)
      • 유동자산(현금, 예금, 채권 등)과 비유동자산(부동산, 설비, 특허권 등)을 모두 합한 가치

PER (낮으면 좋다)

  • 시가총액(Price) / 순이익(Earnings)
  • PER이 낮은 기업이 value가 좋은 기업

순이익

  • 순이익 = 영업이익(EBIT) + 비영업이익 - 법인세

    • 영업이익(EBIT)

      •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
      • 매출총이익(GP: Gross Profit: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 매출원가: 상품에 들어가는 재료를 구매하는데 쓴 비용
      • 판매비와 관리비: 직원 월급 + 광고비 + 용역비 + 소모품비 + 고객 접대비
    • EBITDA

      • EBIT(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감모상각비(무형자산의 감가상각비)
  • 비영업이익
    • 영업 이외의 부분에서 발생한 수익
    • 이는 대개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매도나 투자 등으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의미
    • 비영업비용에는 금융 비용이나 기타 비용 등이 포함

PSR (낮으면 좋다)

  • 시가총액(Price) / 매출액(sales)

PFCR

  • 시가총액(Price) / 잉여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

  • FCF = Free Cash Flow
  • 영업활동현금흐름 – 설비투자비
    • 영업활동현금흐름
      • 기업이 영업으로 어느정도 규모의 현금을 벌어들였는지?
      • 제품의 생산, 판매 같은 회사 영업과 관련해 쓰였거나 들어온 현금

EPS

  •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당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quality가 좋은 기업

  • 재무제표에서 우량 기업(튼실+안정성)이라고 불릴수 있는 수익성과 안정성 지표가 높은 기업
  • 수익여부, 배당여부, 재무건전성(차입금, 낮은 변동성),GP/A,부채비율 등의 지표가 좋은 기업
  • 예시
    • 코스피/코스닥의 모든 기업 중, 1년 수익, 변동성, 부채 비율 등으로 각각 오름차순 하면, quality 기업들의 순위가 나온다.

GP/A (높을 수록 좋음)

  • Gross Profit(매출 총이익) / Asset(총 자산)
  • Gross Profit(매출 총이익)
    • 총 매출액(Sales) - 매출원가
  • 총 자산
    • 기업이 보유한 현금, 채권, 주식, 부동산, 설비, 재고 등 모든 자산

자산 성장률 (오름차순)

  • 저 투자 기업이라는 뜻이다.
  • 물론 자산성장률이 =-20% 이하인 기업은 별로다. 제외하자.

신 스코어

  • 필터: 신 스코어 3점 주식에만 투자

신규 주식 발행(유상증사) -> 없는게 좋다.

  • 최근 1년간 유상증자를 해서 자본금이 늘어난 기업과 < 그렇지 않은 기업은 주식 수익률 차이가 크다.
  • 유상증자
    • 투자자에게 돈을 받아 새로운 주식을 발행

순이익 흑자 여부

  • 최신 분기 순이익이 0 이상인 기업과 아닌 기업의 수익률 차이가 매우 크다.

영업활동현금흐름 흑자 여부

  • 최근 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이 0 이상인 기업과 아닌 기업의 수익률 차이가 매우 크다.

price momentum 이 좋은 기업

  • 주가, 영업이익, 순이익 등에 대한 모멘텀이 좋은 기업
  • 예시
    • 코스피/코스닥의 모든 기업 중, 주가/영업이익/순이익 증가분이 큰 순서대로 정렬하면, 최근에 잘나가는 기업들에 대한 순위가 나온다.

“영업이익/차입금” 증가율(분기) (높을 수록 좋다)

  • 차입금: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부채
  • 차입금의 절대 금액보다는, 기업이 충분한 돈을 벌어서 차입금의 이자와 원금을 값을 수 있을지를 봐야 한다.

주가변동성 : 최근 12개월의 월간 주가 수익 변동성 (낮을 수록 좋다)

  • 변동성이 적은 기업이 안정적이다.

영업(or 순)이익 성장률(전 분기, 전년 동기 대비)

  • 수익률이 성장할 수록 좋은 기업이다.

value & quality & price momentum 개별주 퀀트

  • 저 평가 되어 있고(value), 튼실+안정적이며(quality), 최근에 잘나가는 기업(price momentum) 에 투자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보인다.

  • 위에서 언급한 예시들을 다 합쳐서, 한국 코스피/코스닥 의 기업 순서를 매긴 후, 상위 20개 기업을 사면 어떻게 될까?

  • 1분기마다 리벨런싱 합니다.

  • 만약 미국 개별 주식에 같은 전략을 적용하면?

장점

  • 수익률이 매우 극대화 됩니다.

단점

  • MDD가 떨어지진 않아, 동적 자산 배분 등과 함께 사용하면 좋습니다.
profile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5월 1일
  • PER를 동종 업계 평균이랑 비교해보는게 필요할듯
  • 과거 4년치 순이익이 음수이고, 가장 최근치 순이익이 양수인 기업은 위험하다?
답글 달기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