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면적 , 공급면적 , 주택공급면적, 계약면적

About_non_work·2024년 8월 22일
0

부동산

목록 보기
15/18

1. 면적의 종류

1.1. 전용면적

  • 난방이 들어가는 곳
  • 발코니는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아요.

1.2. 주거 공용면적

  • 아파트 출입 현관과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
  • 슬리퍼를 신고 다니는 공간

1.3. 기타 공용면적

  • 관리사무소와 지하층, 노인정, 유치원 같은 보육시설,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

1.3. 주택 공급면적

  • 1.1. 주거 전용면적 + 1.2. 주거 공용면적
  • 분양가를 책정할 때 쓰다 보니 분양면적이라고도 함

1.4. 계약면적

  • 1.1. + 1.2. + 1.3.
  • 분양계약서에는 위 3개를 모두 구분해서 표시해야 함

1.5. 서비스 면적

  • 발코니(베란다)
  • 분양가에도 포함되지 않아 -> 공짜 면적 이라고도 함
  • 다만 확장공사를 할 경우에는 비용을 내야 하고요.
    • 요즘은 확장된 면적이 기본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

2. 평과 제곱미터(m2)

  • 1평 = 3.3m^2
  • 아파트에서 흔히 말하는 평은 분양면적(1.3. 주택 공급면적) 기준
  • 33평이라고 하면
    • 주거전용면적(1.1) 84m²(25.7평 전후) + 주거공용면적(1.2) 25m²

3. 베이

  • 베이
    • 전면부에 배치된 거실과 방의 개수
    • 발코니와 맞닿은 수
  • (판상형) 4베이 장점
    • 채광 + 통풍 효율 -> 냉난방비 절감 효과
    • 발코니를 확장하면 -> 서비스 면적이 늘어난다는 장점
  • (판상형) 4베이 단점
    • 숫자가 커질수록 -> 거시로가 안방이 좁아짐
    • 복도 공간 활용에 애를 먹을 수 있음
    • 2베이 장점
      • 거실과 안방은 상대적으로 크고,
      • 현관으로 들어왔을 때, 거실이 한눈에 들어와 개방감이 큼

4. 당해

  • 당해 = 해당 아파트 건설지역의 거주자
  • 당해 지역 우선: 당해 청약자에게 우선 당첨권을 주기도 함
profile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