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M 서비스에 들어간다.
프로그래밍방식 엑세스를 선택한다.
기존 정책에 직접 연결 탭을 클릭하고 s3를 검색한다.AmazonS3FullAccess를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사용자 만들기를 눌러 다음으로 넘어간다.
.csv다운로드를 통해 방금 만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한다. 잘 보관하도록 하자.EC2 환경에서 진행한다.EC2 환경이 아니더라도 가능하다.
$ pip3 install awscli
pip3로 awscli를 설치해 준다.pip3 설치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sudo apt install python3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python3-pip명령을 실행시킨 후 다시 시도하면 된다.
$ aws configure
IAM사용자 생성 후 다운받았던 .csv파일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Default output format 은 그냥 엔터를 치고 넘어간다.ls,cp,mv,rm,mb,rb,sync 명령에 대해 알아보자.
$ aws s3 ls
$ aws s3 ls s3://[버킷주소]/[디렉터리]
$ aws s3 cp [복사할대상] [복사할장소]
$ aws s3 mv [이동할대상] [이동할장소]
cp,mv의 경우 버킷주소, 로컬주소 순으로 실행하면버킷->로컬, 반대의 경우는로컬->버킷으로 다운로드/업로드를 할 수 있다.
$ aws s3 rm [삭제할 파일]
$ aws s3 mb s3://[생성할버킷명]
$ aws s3 ls
$ aws s3 rb s3://[제거할 버킷명]
$ aws s3 ls
$ aws s3 sync [동기화할내용] [동기화할 장소]
sync의 경우 버킷-버킷, 로컬-버킷,버킷-로컬 3가지 경우의 동기화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