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NAS란?

Sangho Han·2025년 8월 24일
3

🔀 Infra

목록 보기
3/5

Written by Google Gemini 2.5 Pro

📌 1. NAS란 무엇인가?

가. NAS의 정의와 탄생 배경

  •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서버이다.
  • 과거의 외장하드(DAS)는 특정 PC에 종속되어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현상을 일으켰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외부에서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NAS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했다.
  • 단순한 저장 장치가 아니라, CPU, RAM, 그리고 전용 운영체제(예: Synology의 DSM, QNAP의 QTS)를 탑재한 하나의 완전한 컴퓨터라고 볼 수 있다. 이 OS 위에서 파일 공유, 백업, 스트리밍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나. NAS의 핵심 이점

  1. 데이터 중앙화 및 공유: 여러 기기의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SMB/AFP(내부망), FTP/WebDAV(외부망) 등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손쉽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2. 데이터 소유권 확보: 데이터를 제3의 기업 서버가 아닌 내 소유에 있는 물리적 장치에 저장하므로, 서비스 약관이나 정책 변경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완전한 데이터 통제권을 가진다.
  3. 강력한 데이터 보호: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 디스크 장애에 대비하는 RAID 기술(RAID 1 미러링, RAID 5/6 패리티 등)과, 랜섬웨어나 사용자 실수로부터 특정 시점으로 데이터를 즉시 복원하는 스냅샷(Snapshot) 기능을 제공한다.
  4. 다기능 플랫폼: 파일 저장 외에도 Docker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Manager)을 이용해 개인 서버를 구축하거나, Git Server로 코드 형상 관리를 하는 등 개발자에게 유용한 다양한 앱(패키지)을 설치하여 확장할 수 있다.

📌 2. NAS vs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교

NAS는 초기 자본 지출(CapEx)로 나만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식이며, 클라우드는 지속적인 운영 비용(OpEx)으로 서비스를 구독하는 방식이다.

특징NAS (On-Premise)클라우드 스토리지 (Cloud)
비용초기 자본 지출(CapEx): H/W 구매 비용 발생.
장기적으로 TCO(총소유비용) 저렴지속 운영 비용(OpEx): 초기 비용 없음.
용량/기간에 따라 구독료 지속 발생
성능내부망(LAN) 속도에 의존: 1GbE, 2.5GbE, 10GbE 등 고속 네트워크 구성 시 압도적으로 빠름인터넷 회선 속도에 의존: 대용량 파일 처리 시 업로드/다운로드 속도가 병목이 됨
보안물리적 통제: 사용자가 데이터를 100% 소유하고 직접 통제. 내부망 전용으로 구성 시 보안 극대화서비스 제공업체 신뢰: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갖췄으나, 데이터 통제권을 업체와 공유
유지보수사용자 직접 관리: 하드디스크 상태 점검, OS 업데이트, 장애 처리 등 사용자가 직접 책임서비스 제공업체가 관리: 인프라 관리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어 편리함

📌 3. NAS 활용 시나리오

가. 개인 및 가정

  • Plex/Jellyfin 미디어 서버: NAS에 저장된 영화, 드라마를 멋진 인터페이스로 정리하고, 외부에서도 스마트폰/TV로 스트리밍.
  • 개인 사진/영상 라이브러리: Google 포토 대안으로, Synology Photos 같은 앱을 이용해 휴대폰 사진을 자동으로 백업하고 인물/장소별로 관리.
  • 토렌트 및 다운로드 머신: 저전력으로 24시간 동작하는 NAS를 이용해 PC를 켜두지 않고 파일을 다운로드.

나. 소규모 비즈니스 / 팀

  • 중앙 파일 서버 및 협업: Synology Drive, Office를 이용해 Google Drive처럼 팀원들과 문서를 실시간으로 공동 편집하고 파일을 공유.
  • CCTV 영상 녹화: Surveillance Station 패키지를 설치하여 여러 대의 IP 카메라 영상을 중앙에서 통합 녹화하고 관리.
  • PC 및 서버 백업: Active Backup for Business 같은 솔루션으로 사내 모든 PC와 서버의 데이터를 무상으로 NAS에 통합 백업.

다. 전문가 (영상/사진 작가, 개발자 등)

  • 대용량 RAW/영상 소스 저장소: 10GbE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수백 GB의 원본 파일을 로컬 드라이브처럼 빠르게 편집하고 관리.
  • 개인 코드 리포지토리: Git Server 패키지를 설치하여 비공개(Private) 소스코드를 용량 제한 없이 안전하게 관리.

📌 4. 진화하는 NA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최근의 NAS는 클라우드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와 연동하여 장점을 극대화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 개념: NAS의 빠른 로컬 성능과 클라우드의 강력한 재해 복구 능력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략.
  • 구현 예시 (3-2-1 백업 전략):
    • 중요한 데이터의 복사본을 3개 만든다.
    • 서로 다른 2개의 미디어(NAS, 외장하드 등)에 저장한다.
    • 그중 1개는 원격지(클라우드)에 보관한다.
    • Hyper Backup 같은 앱을 이용해 NAS의 데이터를 Amazon S3, MS Azure 등 퍼블릭 클라우드에 암호화하여 자동 백업함으로써, 화재나 도난 같은 최악의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지킬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방식은 NAS와 클라우드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 딜레마를 해결하고, 데이터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모두 높이는 최적의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 퀴즈

https://g.co/gemini/share/745bc62b2d97

profile
안녕하세요.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백엔드 개발자, 한상호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