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몇 가지 규칙(1)

김형석·2025년 1월 9일
0

LG CNS AM Inspire Camp

목록 보기
5/18

1. 주석

1-1. 정의

  • 코드 설명을 위해 사용하며, 코드 실행 시에는 무시됀다.

1-2. 종류

  • 문서화 주석
    • javadoc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주석
    • /** */ 내부에 @로 항목을 만듬
    • 예시
    				/**
    				* @params
      				*	id	
    				*/
  • 인라인 주석
    • 한 줄을 주석으로 사용하는 방법
    • //로 표기
    • Ctrl + / 단축키를 사용
    • 예시
    				// 주석 표기를 위해 '//'를 사용
  • 범위 주석
    - 여러 줄을 주석으로 사용하는 방법
    - /* */ 사이의 모든 내용을 주석 처리함
    - Ctrl + Shift + / 단축키를 사용
    - 예시
    ```
    			/* 여러 줄을 주석처리 하기 위해서는
    			 * 이렇게
                 * 작성
                 */
     ```

2. 변수와 데이터 타입

2-1. 엄격한 데이터 타입

  • 변수 선언 시 제약이 존재한다.
    • 변수 선언 시 데이터 타입을 지정한다.
  • 변수는 지정한 타입의 값만 사용할 수 있다.
    • 예시) int a = 5, float b = 3.14
  • 상수는 final 키워드를 접두어에 붙여야 한다.
    • 예시) final int FINAL_NUMBER = 5;

2-2. 변수 이름 규칙

2-2-1. 변수, 상수, 메서드 모두에 해당되는 조건

  • 유니코드 기반이므로 영문 대소문자, 한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특수문자는 _와 $만 사용할 수 있다.
  • 숫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숫자로 시작하는 이름은 사용할 수 없다.
  • Java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다.

2-2-2. 변수와 메서드에 대한 권고사항

  • 변수명은 소문자로 시작한다.
  • 두 개 이상의 단어 결합 시에는 Camel Case로 이름을 정한다.

2-2-3. 상수에 대한 권고사항

  • 상수명은 대문자만 사용한다
  • 두 개 이상의 단어 결합 시에는 _로 이어준다.

3. 변수의 생존 기간

  • Java의 스코프는 블록 단위 스코프이다.
  • 변수는 선언된 시점에 생성되고, 자신이 선언된 중괄호 쌍이 끝나면 사라진다
    • 즉, 닫는 중괄호를 만나면 메모리에서 삭제된다.

4. 자료형

4-1. 자료형의 종류

4-1-1. 기본 자료형

  • 기본 자료형을 사용하는 변수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한다.
  • 기본 자료형의 종류
    • boolean - 참, 거짓
    • byte, short, int, long - 각각 1, 2, 4, 8byte 정수형
    • float, double - 각각 4, 8byte 실수형
    • char - 2byte 문자/숫자형

4-1-2. 참조 자료형

  • 참조 자료형은 대부분 클래스 형태로 정의되므로, 사용하는 변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 메모리의 Stack 영역에 주소를, Heap 영역에는 실제 값을 저장하며, 값 저장 공간은 가변적이다.
  • 기본 자료형이 아니라면 대부분 참조 자료형이다.

4-2. 기본 자료형 참고사항

4-2-1. Long 타입과 Float 타입

  • long 타입과 float 타입은 대표 자료형이 아니므로, 일반적으로는 캐스팅을 통해 사용한다.
  • 사용할 값에 long은 L을, float는 F라는 접미사를 붙여준다.

4-2-2. char

  • char 타입은 문자와 숫자 모두를 다룰 수 있다.
  • 문자와 숫자를 구분하기 위해, 문자 값은 따옴표로 묶어준다.
  • 숫자는 진법과 무관하게 따옴표 없이 사용한다.
  • 유니코드 값을 그대로 입력할 수 있다.

4-3. 기본 자료형 간 타입 변환

4-3-1. 리터럴 타입이란?

  • 리터럴 타입은 '값 그 자체'를 의미한다.
  • 자료형 없이 값을 입력한다면 값의 형태에 맞는 대표 자료값으로 자동 변환된다.
  • boolean 타입이 아닌 기본 자료형 리터럴은 서로 값 변환이 가능하다.

4-3-2. 값 변환하기

  • 자동 타입 변환과 수동 타입 변환이 있다.
  • 변환할 값 앞에 (변환할 자료형)을 붙여준다.
  • long과 float는 각각 값 뒤에 L, F를 붙여서 캐스팅해준다.

4-3-3. 자동 타입 변환

  • 타입 변환을 생략할 수 있고,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수행해준다.
  • 값의 표현 범위가 더 넓은 쪽으로 지정된다.
    • 단, short와 byte의 경우에는 해당 값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4-3-4. 수동 타입 변환

  • 타입 변환을 명시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 값의 표현 범위가 더 좁은 쪽으로 캐스팅한다면 값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5. 연산자

  • 연산자에는 산술, 증감, 비트, 시프트, 비교, 논리, 대입, 삼항 연산자가 있다.

5-1. short circuit

  • 연산 수행 중 결과가 이미 확정되는 경우, 나머지 연산을 생략하는 기법이다.
  • 연산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예시) OR 연산 시 |를 연산자로 사용하면 모든 연산 결과를 수행하므로 예외가 발생할 수 있지만, ||를 사용하면 결과 확정 시 이후 연산을 생략하므로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다. -> 예외로 인해 발생하는 보안 문제 가능성을 낮춘다.

5-2. 대입 연산자 축약

  • +=, -=, *=, /=, &=, |-, >>=, <<= 와 같은 식으로 축약할 수 있다.
  • 피연산자-축약된 연산자-피연산자 형태로 식을 간소화할 수 있다.

5-3. 기본 자료형 간 연산

  • 원칙은 동일 자료형간 연산만 가능하다.
  • 다른 자료형끼리 연산하면 자동 타입 변환이 발생한다.
  • 자동 타입 변환 시 더 큰 자료형으로 바뀐다.
  • 연산 유형(동일 자료형간)
    • byte + byte = int
    • short + short = int
    • int + int = int
    • long + long = long
    • float + float = float
    • double + double = double
  • 연산 유형(서로 다른 자료형간)
    • byte + short = int
    • byte + int = int
    • short + long = long
    • int + float = float
    • long + float = float
    • float + double = doubl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