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IP주소와 MAC주소는 "서로 다른" 주소 체계이다. 하지만 통신에 있어서는 두가지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각 주소 체계는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이러한 연결의 역할은 ARP가 수행한다. IP주소를 전송하면,
Internet Protocol이렇게, TCP/IP에서는 Header정보들이 패킷들의 뒤에 붙어서 전송된다.IP1\. 비연결성2\. 비신뢰성그럼, IP의 헤더에 대해서 살펴보자.고정 길이 : 20byte가변 길이 : 40byte즉, 기본적으로는 20byte의 길이를 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에서 언급한 것 처럼, 계층이 올라갈수록 패킷은 뒤에 추가가 되어 전달된다.즉, IP의 "Data"에 TCP의 부분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럼 게시글에서는 헤더에 대해서 살펴보고, Handshake과
Hyper Text Transfer protocol.OSI의 응용 계층(7계층)에 위치하는 Protocol이다.기본적으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응답"이 주어지는 구조로 구성된다.또, 비 연결성이 특징이다. TCP와는 달리 비연결성인게 독특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말 그대로, Internet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일반적인 상황 / 오류 발생 상황 / 기타 특이 상황 모두 포함한다.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ing이 바로 ICMP를 활용한 프로그램이다.IP protocol
User Datagram Protocol.TCP와는 달리 신뢰를 보장하지 않고 비연결지향인 전송 계층 Protocol이다.Non-State순서번호, Buffer등의 상태정보 저장 X, TCP보다 속도가 빠른 점, 순서제어, 흐름제어 등이 없고 전송 측에서 TCP의 3-
Secuer Socket Layer (=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ol)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HTTPS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이다.CA (Certificate Authority), Server, Client 간의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무선 Lan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이다.WEP (Wired Equivalent Privacy).초기의 무선 lan 보안 방법이다. 다만 이 "암호화 Algorithm(=RC4 Algorithm40bit)은 취약하다." 라는 사실이 밝혀져서 최근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