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정규화란?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무결성을 유지하며, 유지 보수와 확장에 용이하게 만드는 데이터 모델링 방법
✅ 데이터 정규화를 할 때는 키를 중심으로 분리해야한다.
✅ 분류된 카테고리들은 PK(Primary Key), FK(Foregin Key)키로 연결된다.
🔥 모든 컬럼명은 데이터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 잘못된 예시 ❌
⭕️ 올바른 예시 ⭕️
데이터 구조
테이블 간의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정확한 쿼리문을 작성할 수 있다.
예시)

❓고객의 주문상황을 조회하기❓
FROM 주문 o
INNER JOIN 고객 c
ON c.고객ID = o.고객ID
❓소속사별 고객의 주문상황 조회하기❓
FROM 주문 o
INNER JOIN 고객 c
ON c.고객ID = o.고객ID
INNER JOIN 소속사 s
ON s.소속사ID = c.소속사ID
❓고객 정보와 상품 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 조회하기❓
FROM 주문 o
INNER JOIN 고객 c
ON c.고객ID = o.고객ID
INNER JOIN 상품 p
ON o.상품ID = p.상품ID
이렇게 EDR을 파악해서 PK 값과 FK 값을 확인하고, 테이블을 올바른 방식으로 JOIN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의 라이브세션 인사이트
⭐️ 데이터를 조회할 때 어떤 모양으로 만들기 전에 어떤 형식으로 되어있는지(= 어둠 속에서 코끼리 만지기) 도식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 논리적, 구조적 사고 키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