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종류
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통계

수치형 : 숫자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범주형 : 가능한 범주 안의 값만을 취하는 데이터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해야하는 이유❓
1️⃣ 데이터의 생김새가 시각화, 해석, 통계 모델 결정에 중요한 역할
2️⃣ 마케터는 데이터의 종류를 이해하고 관련분석을 어떻게 수행할 지 결정
편차, 분산, 표준편차, 표본분포
✅ 데이터의 대표 값 :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모든 값의 총 합을 개수로 나눈 값
➡️ 중간값 : 데이터 중 가운데 위치한 값
➡️ 최빈값 : 데이터 중 가장 많이 도출된 값
⭐️ 편차 : 각 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한 값
✅ 편차 = 점수 - 평균
⭐️ 분산 : 편차의 합이 0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생성된 개념
✅ 편차를 제곱해서 평균낸 값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분산의 제곱근
✅ 분산은 단위가 제곱이라서 해석이 어렵지만 표준편차는 원래 단위로 다시 바꿔줌
▶️ 모집단 : 조사하고 싶은 전체 대상
▶️ 표본 : 모집단에서 일부만 뽑은 집단

▶️ 표본평균 : 뽑은 표본의 평균 값
▶️ 표본분표 : 표본의 분포(표본이 흩어져 있는 정도)
▶️ 표본평균의 분포 : 여러 표본의 평균을 모아 만든 분포
➡️ 데이터가 충분한 경우 정규분포를 따름 = 중심극한정리
❗️정규분포 란?

▶️ 표준오차 : 표본의 표준편차 = 표본평균의 평균과 모평균의 차이
도수분포표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통계적 의미를 찾는 것도 중요
이 과정에서 아래 개념들을 이해해야 하며 이해한 개념을 바탕으로 심화프로젝트에서 통계적 해석을 진행
정규분포의 특징

신뢰구간, 신뢰수준
모든 데이터는 표본을 추출하는 순간 불확실성을 가짐
모집단 전체를 사용하지 않는 한, 결과가 한끗차이도 나지 않기는 어렵다! 라는 의미
이러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우리는 ‘신뢰도’ 이라는 개념으로 약속
👉 python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scipy 를 활용하여 95% 와 99% 신뢰구간을 구현
import scipy.stats as st
import numpy as np
#샘플 데이터 선언
sample1 = [5, 10, 17, 29, 14, 25, 16, 13, 9, 17]
sample2 = [21, 22, 27, 19, 23, 24, 20, 26, 25, 23]
# 신뢰구간을 구할때는 일반적으로 표준오차를 사용해줍니다.
# 표준 편차: 각 값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정도
# 표준 오차: 표본 평균이 '진짜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 즉, 표준편차를 통해 각 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 파악한 후,
# 표준오차를 통해 표본의 평균이 어느정도로 정확하게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하는지를 나타내주게 됩니다.
# 이는 곧 신뢰구간을 구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df = len(sample1) - 1 # 자유도 : 샘플 개수 - 1
mu = np.mean(sample1) # 표본 평균
se = st.sem(sample1) # 표준 오차
# 95% 신뢰구간
st.t.interval(0.95, df, mu, se) # (10.338733110887336, 20.661266889112664)
# 99% 신뢰구간
st.t.interval(0.99, df, mu, se) # (8.085277068873378, 22.914722931126622)
귀무가설, 대립가설, 유의 수준, p-value
신뢰구간으로 “진짜 평균이 어디쯤일까?”를 추측하고 이후에 결정이 필요함.
“A광고 클릭률이 B보다 진짜 높은 걸까?”
”신약이 기존 약보다 효과가 있을까?”
”이 차이는 ‘우연’일까, ‘진짜 차이’일까?”
이때 필요한게 가설 검정(Hypothesis Test)
➡️ 가설검정: 어떤 주장을 "통계적으로 맞는지" 판단하는 방법
✅ 가설의 종류
➡️ 귀무 가설: 아무 변화가 없다고 가정
➡️ 대립 가설: 증명하고자 하는 가설

✅ 유의 수준
➡️ 표본을 추출하는 순간 모집단과 100% 일치할 수 없기 때문에,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
➡️ 가설 검정에서 결론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 여기서 기준이 되는 것이 유의수준


✅ p값 (p-value)
오늘의 인사이트
통계라는 것을 오랜만에 다시 배웠는데 어려웠다.
그래서 개념부터 하나하나 정리하면서 이해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