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에서 사용되는 데이터타입을 알아보자.
대부분 숫자와 문자열을 사용하니까 잘 알아두자.
TINYINT
: 1 byteSMALLINT
: 2 byteMEDIUMINT
: 3 byteINT(INTEGER)
: 4 byteBIGINT
: 8 byte고정소수점 방식에 비해 정확하지 않다.
FLOAT
: 4 byteDOUBLE
: 8 byte실수를 정확하게 저장할 때 사용
(ex) DECIMAL(5,2) : ( -999.99 ~ 999.99 )
DECIMAL
/ NUMERIC
: 변수0 <= n <= 255
문자열의 최대 크기를 지정한다.
저장될 문자열의 길이가 최대 길이보다 작으면 나머지를 " "
로 채워서 저장
즉, n으로 지정된 크기를 무조건 차지한다.
0 <= n <= 65,535
CHAR형과 비슷하지만, 나머지를 " "
로 채우지 않고 문자열의 길이만큼만 저장한다.
즉, n은 최대 크기일 뿐 실제 크기는 문자열의 길이와 같다.
TINYTEXT / TEXT / MEDIUMTEXT / LONGTEXT
TINYTEXT , TEXT는 VARCHAR과 동일하거나 더 작기때문에,
실제로 긴 텍스트를 저장할때는 MEDIUMTEXT
또는 LONGTEXT
를 사용한다.
YYYY-MM-DD
- 년, 월, 일을 저장한다.
hh:mm:ss
/ hhh:mm:ss
- 시, 분, 초를 저장
DATETIME
- YYYY-MM-DD hh:mm:ss
TIMESTAMP
: time-zone이 반영된다.
문자열이 아닌 byte-string을 저장
BINARY
/ VARBINARY
/ BLOB type
TINYINT
로 1 , 0을 저장해서 대체한다.GEOMETRY
/ etc
JSON
: JSON 데이터를 저장한다.
(참고)
쉬운코드
인프런 강의
https://www.inflearn.com/course/%EB%B0%B1%EC%97%94%EB%93%9C-%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A%B0%9C%EB%A1%A0/dash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