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정의서
의뢰자와 작업자가 구현하기로 합의한 업무 범위와 상세 기능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명시한 문서이다.
요구 분류: 해당 요구사항의 성격을 규정한다.
ex) 신규, 개선, 수정
요구사항 이름: 요구사항을 가시적으로 명확히 하기 위한 이름
ex) 로그인 기능, 검색 기능
요구사항 내용: 요구사항에 대한 설명
ex) 회원가입 시 비밀번호는 영문자와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시켜야한다.
수용 여부: 요구사항을 수용했는지에 대한 여부
ex) 수용, 보류, 기각
우선 순위: 요구사항에 대한 우선 순위 규정
ex) 상, 중, 하
요구 적용일자: 구축 예정 및 적용 날짜
기능 처리 흐름 기술서
프로세스간 데이터 흐름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표현을 도식화한 것이다.
자료의 흐름과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시스템 모델링의 도구로써 사용된다.
구성 요소
Data flow 데이터 흐름: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를 의미하는데, 아래 그림에서는 화살표시를 가리킨다.
process 처리 과정
: 입력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과정으로, 그림에서 원을 가리킨다.
원 안에는 프로세스가 수행하는 일 또는 수행하는 행위자를 기술한다.
Data Store 데이터 저장소
: 단순히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로써 추후 이용될 목적으로 보관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표기법은 단순히 평행선으로 나타낸다.
External Entity 외부 엔티티
: 프로세스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가 발생하는 시작과 종료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DFD 범위 밖에 사각형 형태로 표시한다.
DFD 내용 참고: https://cjmyun.tripod.com/Knowledgebase/DFD.htm
그림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9D%B4%ED%84%B0_%ED%9D%90%EB%A6%84%EB%8F%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