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_필기 심화 문제정리

우진혁·2024년 5월 18일
0

Study

목록 보기
10/13

개인적으로 문제출제가 잘되었고 이론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부분 정리의 내용이다.

서브넷마스크 계산
Q. 다음 네트워크를 참조 후 네트워크를 설정하라.
192.168.100.56/29

① 사용 가능한 첫번째 IP
192.168.100.57 -> 2번문제의 정답해설 참조
② 위 네트워크의 SUBNET MASK
앞에 24비트는 제외. 마지막자리의 비트수
8비트의 자릿수 (11111000) = 128+64+32+16+8 => 255-7 = 248
host의 수량 = 256 - 서브넷마스크 맨 마지막자리(248)을 뺀 수량. = 8
고로 29비트의 서브넷 호스트의 수량은 8개이다.
문제의 예시로는 [56,57,58.59.60.61.62.63] 인데
네트워크 분리시 맨 처음과 맨 마지막은 사용 불가능(브로드캐스트), 한번 서브네팅마다 2개씩 IP가 낭비되어 서브네팅을 최대한 줄인다.

③ 맨 마지막에 사용 가능한 IP를 gateway로 지정
192.168.100.62

Q. 130.168.16.0./20, 17개로 나누고, 10번째 서브넷의 브로드캐스트의 아이피는??
A. https://www.youtube.com/watch?v=b6eQUYM13Bs ->유튜브흥달쌤.
->텍스트 정리 하기가 어려워.. 본 강의 참고

Private Network의 대역은
1. 10.0.0.0-10.255.255.255
2. 172.16.0.0-172.31.255.255
3. 192.168.0.0-192.168.255.255

Q. 네트워크와 서버를 관리하는 Kim 사원은 인터넷이 느려졌다는 민원을 받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해당 ISP 주소쪽으로 명령어(A)를 입력하였더니 다소 지연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 (A)에 들어가야 할 명령어는?(단, 윈도우 계열의 명령프롬프트(cmd)에서 실행하였다.)
A. 네트워크 경로 탐색시의 명령어에 관련된 문제.
Window에선, tracert 사용
Linux에선, traceroute 사용
각 OS별 명령어가 다른걸 인지해야함.

Q. IPv4 Address 중 네트워크 ID가 ′127′로 시작하는 주소의 용도는?
A. 127.0.0.0 ~ 127.255.255.255 의 대역은 루프백 주소 대역이다.
루프백 이란? 자신을 나타내는 가상의 IP를 의미하며 자신에게 다시 네트워크 입력이 들어오는걸 의미한다.

OSI 7계층

  •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것을 의미하며,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위해 나뉘어졌다.

Q. Park사원은 최근 온라인상 컴퓨터 자원을 뜻하는 ( )를 알게되어 업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해 ( ) 컴퓨팅을 설치할것을 제안해 회사 컴퓨팅자원을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하게 했다.
A. (클라우드) 를 의미하며,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서버와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의 모음집을 의미한다.

Q. Linux 시스템 프로세스들의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거나 시스템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어는?
A. ps와 top가 헷갈릴수 있는데.
ps는 프로세스 전체 사용시간 동안의 cpu 사용룰, top은 그때 그때의 cpu 사용률을 보여준다.
-> 실시간으로는 top이 적절

Q. FTP는 원격 서버에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FTP는 2가지 Mode로 구분되는데, 서버에서 따로 포트 대역을 설정해주고 서버는 임의로 지정된 데이터 포트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내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포트로 접속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A. 문제에서는 서버가 클아이언트로 접속하는것을 의미하는데,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접속 : Passive Mode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접속 : Active Mode

IP의 Checksum에 대해..

  •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CSMA/CD 기술

  • 반송파가 감지되지 않으면 컴퓨터가 전송매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BitLocker

  • 쉽게 디스크 암호화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와 BIOS에서 TPM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TPM이란? 패스워드나 디지털인증서 등을 저장할수있는 공간과 RSA와 SHA-1등의 암호화 기법이 포함된 하드웨어 보안칩을 의미한다.

EFS(Encrypting File System)

  • 암호화 파일시스템을 의미하며 개별파일을 파일시스템 단계에서 암호화하는 방식읋 파일암호화키(FEK)라는 임의의 대칭키 생성 및 사용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10m이내의 거리에서 무선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무선 개인 통신망 (UWB, ZigBee, 블루투스 등)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 웹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 제공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 인터넷상에서 파일을 전송하기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20번과 21번포트를 사용한다.
  • 20번포트는 데이터채널로 사용되어 파일전송이 이루어지고 21번포트는 제어채널로 사용되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명령어 및 응답을 전송한다.

SDN(Softwae Defined Network)

  •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가상화하고 추상화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접근방식

Unicast: 단일송신자와 단일수신자 간의 통신
Multicast: 단일송신자와 다중수신자 간의 통신
Anycast: 단일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수신자 간의 통신
Broadcast: 특정 호스트로부터 같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로 전송하는 방식

아파치(HTTP) 상태 코드
100번대 : 요청
200번대 : 성공
300번대 : 리다이렉션 완료
400번대 : 클라이언트 요청오류
500번대 : 서버오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SaaS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공급자가 완벽하게 관리(사용량이나 구독에 따라 요금부과)
PaaS는 개발 플랫폼을 사용자가 어느 정도 수준의 관리 및 구성을 요구
IaaS는 가상화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자가 어느 정도 수준의 관리 및 구성을 요구
BPaaS는 백업 및 재해 복구 솔루션을 제공 (사용량이나 구독에따라 요금부과)

  • SaaS와 BPaaS는 일반 사용자와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고 PaaS와 IaaS는 개발자와 대기업이 주로 사용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라우팅 구분은 크게 2가지로 거리벡터 라우팅과 링크 상태 라우팅으로 나눔.
거리벡터 라우팅의 경로 알고리즘은 벨만-포드(Bellman-Ford)알고리즘이며 대표적 프로토콜로는 RIP, IGRP, BGP 등이 있음.
반면 링크 상태 라우팅의 경로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Dijkstra)알고리즘이며 대표적 프로토콜로 OSPF, EIGRP 등이 있음.

신기술용어
디지타이징 : 사인파 같은 연속 아날로그 신호를 일련의 이산 샘플(판독치)로 변환하는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시 바로 제공F하는 것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 언제 어디서든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컴퓨팅할 수 있는 것
디지털 컨버전스 : 하나의 기기와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 기술을 묶은 새로운 형태의 융합 상품

프로토콜 기본기능
흐름제어(Flow Control) : 얼마나 많은 데이타를 보낼 수 있는지(전송량제어)
오류제어(Error Control) : 에러를 검출해서 정정할것인지(오류검출, 재전송)
회선제어(Line Control) : 데이타를 보낼때 누가 보낼 수 있는지 결정(충돌방지)

프로토콜 기본요소
구문 :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및 신호의 크기 등을 포함 무엇을 전송할 것인가
의미 : 데이터의 특정 형태에 대한 해석을 어떻게 하는가, 전송의 조정 및 오류처리를 위한 제어정보
타이밍 :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profile
개인 발전과 성장을 위한 정리노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