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네트워크 계층

박성훈·2022년 9월 13일
0

백엔드

목록 보기
10/13
post-thumbnail

💡 OSI 7계층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기능을 7계층으로 구분한 것이 OSI 7계층이다.

📌 OSI 7계층 모델에서의 데이터흐름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송신자 ]
응용 - 표현 - 세션 - 전송 - 네트워크 - 데이터링크 - 물리
[ 데이터 수신자 ]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 물리계층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하는 계층.

송신 측 장치에서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다음 계층으로 잘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련된 하드웨어로는 리피터, 허브 등이 있다.

🔍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주소를 결정하는 계층.

물리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도착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

관련된 장비로는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등이 있다.

🔍 네트워크계층

실제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라우팅 담당.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출발지와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지만, 어떻게 갈 지에 대한 정보는 없다.

각 네트워크 회선마다 트래픽이 다르기때문에, 직선거리로만 가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선택한다.
이 과정을 '라우팅(Routing)'이라고 한다.

🔍 전송계층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

물리~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전달할 데이터와 최적의 경로를 확보했다.

전송계층에서는 데이터가 밑의 계층에서 만들고 정의한 것을 정상적으로 전송시키기 위한 확인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잘 보내지고 있는지, 패킷이 유실되거나 순서가 바뀌는 경우가 있지는 않는지 등을 확인하고, 만약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바로 잡는 역할을 수행한다.

🔍 세션계층

세션 연결의 설정과 해제, 세션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 수행

물리~전송 계층은 데이터 전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세션계층 부터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두 컴퓨터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한 쪽에서 우편을 보낸다고 해도 받는 쪽에서 응답이 없거나, 거부하게 되면 반송되는 것처럼 송, 수신 장치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로세스 즉, 세션을 연결하거나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 연결을 끊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세션 계층이다.

🔍 표현계층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 수행

응용계층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텍스트파일인지 이미지파일인지 구분하여 우리가 볼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해주는 것이 표현계층의 주요역할이다.

🔍 응용계층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

실제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보고 조작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Google Chrome, Gmail등이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 TCP/IP 4계층

TCP/IP 계층은 OSI계층 모델을 실무적으로 현실에 맞춰 단순화한 모델이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노드간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OSI모델에서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이 여기에 해당한다.
즉, 전기신호 전달부터 주소 정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인터넷 계층

통신 노드 간의 IP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및 라우팅 담당

OSI모델에서 네트워크 계층이 여기에 해당한다.

🔍 전송 계층

통신 노드 간 연결 제어 및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담당

OSI모델에서 전송 계층이 여기에 해당한다.

🔍 어플리케이션(응용) 계층

TCP/UD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

OSI모델에서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이 여기에 해당한다.

서버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이 계층에서 동작한다.

profile
프론트엔드 학습일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