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ravel로 만든 걸 웹앱이 아닌 앱 형태로 쓰려고
또한,
나중에는 라라벨은 백앤드로만 쓸 생각도 있음
expo로 해봄
made with matt등 유튭에 나오는 react native expo 클론 코딩으로 맛보기 해봄
리액트를 좀 알아야지 편함
커뮤니티가 많음
커뮤니티안에 파생 커뮤니티도 많음
다른 말로는 third party lib 패캐지 관리 힘들듯
물론 많아서 적용 할 수 있는게 많음
역시 컨포넌트는 짱임
근데 가끔 패캐지 관리가 안되서 잘되던 third party lib도 패키지 업글 하면 안됨.
개발 할 때 리프레시 하면 바로 적용 되는게 있는가 하면
expo, simulator, 등 다시 꺼야 될 때 있음
근데 이게 개발하는 시간을 많이 잡아 먹음
왜 인지 모르나 원래 되던 코드도 이렇게 리셋 안해주면 안될 때 가끔 있음
개별로임
자동완성도 제대로 지원 안해줌
snack expo 에서 굉장히 다양한 예제가 많음
real device testing 굉장히 편리함
플러터 이놈 굉장히 성숙해짐
flutter flow가 나와 간단한 앱은 drag and drop으로 만들수 있다고 함
flutter flow의 평은 C# 프로그래밍과 비슷한데 추가기능 있고 디자인이 모던하다고 함
구글이 앵귤러를 선택하지 않고 다트를 사용한 이유가 있음
구글가 이끄는 커뮤니티, 굉장히 패키지 관리 하기 쉬움
개인적으로는 파이썬, C#, 자바, 등 일반적 프로그래밍에 조금 더 가깝지 않나 생각함
그래서 코드를 머리에 떠올리기 쉬움 (배우기 쉬움)
반대로 리액트는 아직도 뭔가 머리에서 깔끔하게 떠올리기가 힘듬
dartpad에 편하게 예시 볼 수 있음
근데 양으로는 리액트 네이티브에 밀림
자동완성 개편함
바로바로 즉각즉각 업데이트 해줘서 편함
다른 서비스에 비해 doc이 최상급 퀄
예제를 줄 때, 그냥 예제를 주는게 아니라
만들어지는 순서도 알려줌 그래서 로직을 이해하기 훨씬 수월함
쿡북: flutter에서 공식으로 예제 줌 https://docs.flutter.dev/cookbook
ui 그리기 쉬움
나중에 구글의 다른 서비스에 락인 될 확률 1000000%
QR코드 인식 처럼 추가 기능이 필요하면 패캐지 추가 해야 되는데...
패캐지를 쓰는데 있어, 양도 별로 없어서
개발 하다 에러가 날 시 react native 처럼 검색해서 빠르게 해결책 찾기 어려움
real device testing 같은 경우 expo 보다 훨씬 어려움. 근데 할 수 있긴 함 여기 따라하면됨
statically typed language 라서 ide에서 바로 바로 고쳐주지만... 반대로 말하면 사용자가 다 제대로 넣어 줘야 함. 처음에는괜찮네 하지만... react native 코드랑 비교 햇을 때 굉장히 난이도 있음
설치 설명 잘되어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fzAg7lOWqVE
유튭 강의: 코딩셰프
여기도 괜찮은듯:
https://www.youtube.com/channel/UC8aiILPy0NO5wwLaYEzImbw
Map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dictionary
late은 inialized 할 때 많이 씀
compile 일 때 만들어 지는게 아니라 runtime 때 만들어 진다.
var, dynamic, const, and final
late... null-safety ultimate guide
late - assigned at first read
final - assigned only once in runtime
const - assigned only once in compile time
참고:
https://m.clien.net/service/board/cm_app/16906222?od=T31&po=0&category=0&groupCd=
실제 배포 할 개발시에는 차이가 잇을 듯
참고:
flutter and react native 비교 매우 잘해놓음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