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개인 서버 구축하기 1: PC 구입

김연찬·2024년 10월 13일
1
post-thumbnail

배경

9월에 NCP(Naver Cloud Platfrom)에서 지급한 무료 크래딧을 모두 사용했다. 개인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곳을 새로 찾아야만 했다.

왜 개인 서버 인가?

서버를 운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이다. 플랫폼으로 이용하는 것과 직접 개인 서버를 운용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가장 보편적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쪽으로 생각하였다. 하지만 주변에서 AWS를 사용하다가 요금 폭탄을 맞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NCP는 한달에 8만원 정도의 서버비가 발생해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다.

반면, 개인 서버를 운용하면 초기 비용을 제외하고는 전기세만 부담하면 된다. 또한 서버의 사양을 자유롭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매력적이었다. 무엇보다도, 직접 컴퓨터를 맞추고 개인 서버 환경을 구축해보고 싶은 마음이 컸다.

맥미니 vs 미니PC vs 데스크탑

개인 서버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맥미니, 미니PC, 데스크탑 세 가지 선택지가 있었다.

맥미니

맥미니는 M1 칩을 사용한 중고 제품을 구매하려고 처음에 고려했다. M1 칩은 전성비(전력 대비 성능)가 매우 뛰어나고 소음도 거의 없으며, 애플 환경에 익숙한 나로서는 매력적인 선택지였다. 그러나 MacOS가 기본으로 10GB 정도의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어 RAM 16GB 모델을 찾았지만, 중고로 마음에 드는 매물이 없어서 결국 포기하게 되었다.

미니PC

미니PC는 Belink, FIREBAT, chatreey 등 다양한 제품들이 있었다. 크기도 작고, 소음도 거의 없으며, 가격도 15-20만원 정도로 저렴해서 처음 연습용으로 사용하기에 괜찮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악성코드 뉴스 보고, 일부 사용자들이 3개월 정도 사용 후 먹통이 되는 사례가 많아 보여 최종적으로 선택하지 않기로 했다.

데스크탑

처음에는 데스크탑이 크기도 하고 RGB(개인적으로 RGB를 정말 싫어한다.)에 전력 소비가 많아서 선택하지 않으려 했지만, 찾던 중 ASRock DeskMini X300이라는 제품을 발견했다. 이 제품은 가격도 저렴하고, 추후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었다. 결국 데스크탑 형식이지만 ASRock DeskMini X300을 선택하게 되었다.

PC 구입

분류이름가격
케이스 & 메인보드 & 파워ASRock DeskMini X300212,000원
CPUAMD 라이젠5-4세대 5500GT147,900원
CPU cooler인텔 AX210NGW Wifi 6E 무선랜카드 (외장안테나 + 케이블 포함)79,000원
RAM삼성전자 노트북용 DDR4 16GB PC4-2130044,500원
SSD삼성전자 PM9A1 512GB M.2 NVMe70,600원
WIFI & Bluetooth인텔 AX210NGW Wifi 6E 무선랜카드 (외장안테나 + 케이블 포함)31,500원
총계585,500원

참고

  • ASRock DeskMini X300은 5000 시리즈만 호환이 된다.
  • ASRock DeskMini X300의 메인보드는 AM4 소켓이다. 쿨러를 AM5로 살뻔했다.
  • ASRock DeskMini X300의 메인보드에는 노트북용 RAM을 사용한다. 데스크탑용으로 샀다가 황급히 환불하였다.
  • 초기에는 5600G를 구매하려했지만 가격이 16만원으로 많이 올라와있어 다른 상품을 찾아봤고 성능이 비슷하고 24년도에 출시한 5500GT로 구매하였다.

조립

PC 조립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았다. 오랜만에 조립해보는 것도 있고, WIFI 안테나는 처음 사용해서 막혀 있는 구멍을 둟어서 사용하는 것도 몰랐다. 그래도 CPU, CPU 쿨러, RAM, WIFI, SSD 순으로 잘 조립하였다.

후기

크기가 작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무소음에 가깝고, RGB나 과한 디자인 요소도 없어 심플하다. 케이스 크기가 생각한것 보다 훨씬 작아 너무 귀엽다. 이제 운영체제도 설치하고 다양한 시도를 할 예정이라 굉장히 설렌다.

profile
헐레벌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