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란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세스의 문맥(context)
프로세스는 상태(state)가 변경되며 수행된다.
swap out
이 된다blocked: 자신이 요청한 event가 만족되면 Ready
↕️
Suspended: 외부에서 resume해 주어야 Active
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프로세스당 유지하는 정보
구성 요소
CPU를 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넘겨주는 과정
CPU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넘어갈 때, 다음을 수행한다.
그러나
System call
이나Interrupt
발생시 반드시Context switch
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즉, 위 그림과 같이 사용자 프로세스 A에서 다시 사용자 프로세스 A로 복귀한다면, Context switch
가 발생하지는 않음
1번의 경우에 CPU 수행 정보 등 context의 일부를 PCB에 save해야 하지만, 문맥 교환을 하는 2번의 경우 그 부담이 훨씬 크다(eg.
cache memory flush
⬅️ 캐시 메모리를 다 비우는것)
프로세스들은 각 큐들을 오가며 수행된다.
Long-term scheduler(장기 스케줄러 or job scheduler)
ready queue
로 보낼지 결정memory
(및 각종 자원)을 주는 문제degree of Multiprogramming
을 제어time sharing system
에는 보통 장기 스케줄러가 없음(무조건 ready)현대의 컴퓨터는 new -> ready로 바로 보냄
Short-term scheduler(단기 스케줄러 or CPU scheduler)
Medium-Term Scheduler(중기 스케줄러 or Swapper)
memory
를 뺏는 문제degree of Multiprogramming
을 제어현대의 운영체제에서는 중기 스케줄러로 메모리 관리를 함
중기 스케줄러를 위한 상태로 Suspended(stopped)
상태가 있음
스레드는 프로세스의 실행 단위
➡️ 스레드를 lightweight process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레드의 구성
스레드가 동료 스레드와 공유하는 부분(=task)
전통적인 개념의 heavyweight process는 하나의 thread를 가지고 있는 task로 볼 수 있다.
같은 일을 하는 프로세스가 여러개 있다면, 프로세스를 하나만 띄워두고(code, data, stack) 스레드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부분을 실행시키도록 함 -> 메모리 절약(중복된 프로세스의 code, data, stack을 여러개 띄워두지 않아도 되기 때문)
스레드의 공유
별도로 가지고 잇는 것은 프로그램 카운터나 레지스터와 같은 CPU 수행과 관련된 정보
스레드가 여러개 있다는 사실을 운영체제 커널이 알고 있음. 하나의 스레드에서 다른 스레드로 CPU가 넘어가는 것도 커널이 CPU 스케줄링을 하듯이 넘겨줌
라이브러리를 통해 지원하며 프로세스 안에 스레드가 여러개 있다는 사실을 운영체제는 모름. 유저 프로그램이 스스로 스레드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