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wer = [0,0]
while(s !=='1'){
//문자열 s에서 1의 개수를 구하는 것
let res = s.split('').filter(a=> a==='1').length
//answer의 0번째 방에는 반복을 한 횟수를 넣어야 한다.
answer[0]++
//1번 방에는 0을 제거한 횟수를 넣어야 하기 때문에
// res 즉 문자열 길이에서 1의 개수를 구한 것을 빼면 나머지 값을 구할 수 있다.
answer[1] += s.length-res
//toString을 사용하여 2진수로 변환시켜준다.
s = res.toString(2);
}
내가 생각할 때 이 코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진수로 변환하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이 문제에 핵심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toString()을 사용하여 바꾸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