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관리 - 4부

황제연·2025년 6월 12일
0

CS학습

목록 보기
103/193
post-thumbnail

iptables 사용하기

iptables를 이용해서 정책을 설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rule에 해당하는 match와 target입니다
target은 iptables에서 패킷이 규칙과 일치할 때 취하는 동작을 말하고
매치는 iptables가 규칙 타겟에 의해 명시되는 동작에 따라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만족해야하는 조건입니다

예를들어 TCP 패킷에만 적용하려면 -p(--protocol) 매치를 사용해서 적용시키면 되고,
만약 -p옵션으로 프로토콜을 명시하지 않으면 모든 프로토콜(tcp, udp, icmp)에 해당정책에 적용됩니다

iptables의 확장 사용하기

iptable는 -p 옵션 뒤에 프로토콜을 지정한 뒤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TCP의 확장

먼저 -p tcp로 프로토콜을 지정하고 추가로 지정할 옵션을 사용합니다
관련 정보는 iptables -p tcp -h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DP의 확장

먼저 -p udp로 프로토콜을 지정하고 추가로 지정할 옵션을 사용합니다
위에 열거된 TCP의 확장 옵션 중에 --sport 및 --dport를 지원합니다
관련 정보는 iptables -p udp -h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CMP의 확장

먼저 -p icmp로 프로토콜을 지정하고 --icmp-type을 추가 옵션으로 지정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ICMP 타입 값에는 echo-request(8), echo-reply(0), destination-unrechable(3)등이 있고,
관련 정보는 iptables -p icmp -h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tables의 설정 규칙 저장

명령행에서 iptables로 설정한 정책들은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초기화됩니다
따라서 해당 정책을 지속적으로 반영하려면 설정 규칙을 저장해야 합니다
설정 규칙을 저장하는 방법에는 관련 명령어를 사용한 저장, 스크립트를 사용한 저장, 셸 스크립트를 작성한 저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iptables의 로그 기록

iptables의 관련 로그를 남기려면 정책을 설정해야 합니다
-j LOG로 선언하면 되고, 로그기록은 /var/log/messages에 남깁니다
특히 선언하는 위치가 중요하며, 보통 선언된 이후의 정책들만 로그로 남깁니다

참고

  • CentOS 7로 이해하는 리눅스 관리 및 시스템 보안 - 도서
profile
Softwar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