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설치 및 관리 - 1부

황제연·2025년 5월 28일
0

CS학습

목록 보기
88/193
post-thumbnail

프로그램 설치 개요

리눅스 배포판 별로 프로그램 설치/삭제/관리 등을 쉽게 하기 위해
독자적인 패키지 관리 기법을 만들었습니다

배포판기본 패키지 관리 기법온라인 패키지 관리 기법
레드햇 계열RPMYUM (CentOS 7 이하) / DNF (RHEL 8+, CentOS 8+)
데비안 계열Dpkgapt-get
수세 계열YaSTzypper

소스파일을 이용한 설치

리눅스에서 소스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통
압축풀기 -> 디렉토리 이동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의 5단계를 거칩니다

따라서 tar를 비롯한 압축도구, GNU C컴파일러인 gcc, 의존성 검사도구인 make 등의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소스 설치의 주요 3단계

configuration

소스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을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tar.gz등으로 제공되는 것은 대부분 프로그램 소스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수정이 필요합니다

make

make는 대상 프로그램을 파생시키는 방법을 지정하는 makefile이라는 파일을 읽어서
소스코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빌드하는 자동화 도구입니다

make install

컴파일된 실행 파일을 지정한 속성으로 지정된 디렉토리에 설치합니다

cmake(cross platform make system)

cmake는 소스 컴파일 사용되는 Make의 대체 프로그램으로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cmake는 지정한 운영체제에 맞는 make 파일의 생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징

  • 소프트웨어 빌드에 특화된 언어로 독자적인 설정 스크립트를 이용합니다
  •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윈도우 계열운영체제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패키지 파일을 이용한 설치

레드햇 계열의 패키지 관리 기법인 RPM은 프로그램을 .rpm 형태의 파일로 배포하고,
rpm 명령을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배포되는 rpm 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리눅스버전.아키텍처.rpm

참고

  • CentOS 7로 이해하는 리눅스 관리 및 시스템 보안 - 도서
profile
Softwar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