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설치 및 관리 - 6부

황제연·2025년 6월 2일
0

CS학습

목록 보기
93/193
post-thumbnail

백업의 개요

백업은 자료를 보호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여러 개의 자료 복사본을 만들어 놓고
자료를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는 것으로 시스템 관리자가 최우선적으로 해야할 작업입니다

백업을 실행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시스템과 떨어진 위치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외장하드 등에 백업하는 방법 등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백업 전에 고려할 사항

백업 대상 선택

가능한 많은 백업을 수행하는 것이 좋지만 쉽게 설치가 가능하거나
항상 자동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들은 백업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떠한 영역을 백업할 것인지 정해야합니다

백업의 종류

백업에는 전체 백업(Full Backup)과 부분 백업(Partial Backup)으로 나뉘어집니다
전체 백업은 말그대로 특정 디스크나 파티션 등 전체를 백업하는 것이고,
부분 백업은 선택한 파일들만 백업하는 것입니다

부분 백업은 증가된 내용만 백업하는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과
바뀐 부분만 백업하는 차등 백업(Differential Backup)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백업 주기

얼마나 자주 백업할 것인지도 결정해야합니다
또한 전체 백업을 할 것인지 증분 백업을 할 것인지도 결정해야하는데,
실제로는 이 두가지 백업 형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체(Media) 선택 여부

어떠한 백업 매체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합니다
백업매체는 하드디스크, SSD 등이 있습니다

백업 방법

어떠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해야합니다
리눅스에서 사용가능한 백업 프로그램에선 tar, dd등이 많은 유틸이 존재하고
상용 프로그램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백업 관련 명령어

tar(tape archive)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유틸리티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이 쉽고 소량의 파일 백엡어 좋으며, 원본 파일을 남겨두므로 안전합니다
참고로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GNU tar는 압축을 지원합니다

cipo (copy input to output)

tar와 비슷한 유틸리티로 많은 양의 데이터에 대해서 stream 방식으로 처리해 대용량 백업에 유리합니다
장치 파일이나 네트워크 파일 등의 특수 파일도 백업이 가능하고
백업본의 크기가 작거나 손상된 부분이 있더라도 해당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복구합니다

또한 기존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백업을 진행하므로 다양한 조건을 활용해서 백업이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증분 백업 기능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dump 및 restore

파일들이 아닌 파일 시스템 전체를 백업할 때 사용하는 유틸리티로 보통 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전체 백업과 증분 백업을 지원하고, 0~9 단계의 레벨을 가지고 증분백업을 지원합니다
레벨 0이 전체 백업이고 나머지 레벨들은 부분 백업시에 사용합니다
백업할 때 /etc/fstab 파일을 참조하며 데이터 복원은 restore 명령을 사용합니다

dump

파티션 단위로 백업하는 명령입니다

사용법

dump option 파일명 백업대상

restore

dump로 백업한 내용을 복원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파일 기반으로 백업한 경우에는 복원하고자 하는 파티션 영역에 해당 파일을 복사한 후 실행하면 됩니다

사용법

restore option 백업파일명

dd(data dumper)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하는 유틸리티로 사용하기는 쉽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rsync(remote synchronous)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의 파일들을 동기화하는 유틸리티로 이전에 사용하던
rcp(remote copy)에 비해 처리속도도 빠르고 다음 기능을 제공합니다

제공 기능

  • 링크된 파일이나 디바이스 파일도 복사가능하고, 그룹을 포함한 소유권 및 허가권도 유지하여 복사할 수 있습니다
  • GNU tar와 유사한 옵션을 사용하며, 특정한 부분만 백업할 수 있습니다
  • CVS의 exclude 모드처럼 같은 파일들은 제외할 수 있습니다
  • ssh나 rsh를 이용하여 전송가능하고 root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내부 파이프라인을 통해 전송기간을 줄입니다
  • rsync daemon 모드에서 익명/인증 사용자 설정을 통해 미러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로컬 시스템의 백업시에는 별다른 서버 설정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법

rsync [option] source destination

참고

  • CentOS 7로 이해하는 리눅스 관리 및 시스템 보안 - 도서
profile
Softwar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