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VPC

GreenBean·2023년 2월 22일
0
post-thumbnail

AWS VPC

이전 작성 글: AWS 기본 개념

[AWS] AWS VPC 상세히 알아보기 - 이론강의

AWS VPC 란?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 Amazon VPC ) 는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
    • 사용자가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음

VPC 구성 요소

  • subnet
    • VPC 를 특정 범위로 나눈 범위
      • 네트워크망 대역을 CIDR 별로 나누는 것
  • RouteTable
    •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할 위치가 명시된 규칙 집합 테이블
      • 실제 라우터의 축소판 같은 느낌
  • Internet GW
    • VPC 의 리소스에서의 인터넷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 IGW 가 있어야 외부 대역으로 나갈 수 있음
  • NAT GW
    •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통해 Private Subnet 에서 인터넷 통신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 NAT GWIGW 로 연결되어 Private Subnet 에 있어도 실제 인터넷과 연결 가능
      • Public IP ( 공용 IP ) 가 없더라도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이유
  • VPC endpoint
    • NAT, IGW 등을 통하지 않고 AWS 의 서비스를 비공개로 연결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Best Practice

AWS VPC 를 어떻게 구축하는 것이 올바르게 구축하는 것일까?

  • zone 의 개수는?
  • subnet 의 개수는?
  • CIDR 숫자는?
  • subnetZone 에 종속적
    • 하나의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서비스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 여러 zone 을 운영하는 것이 모범 사례
    • zone 의 개수는 3개 이상 가장 이상적

  • 과거에는 용도별로 subnet 을 나누기 위해 노력
    • IP 를 알고 싶어 했음
      • CIDR 을 나눈다는 것은 그 IP 의 범위를 예측하고 알 수 있다는 뜻
      • 과거에는 IP 를 지정해주거나 특정 범위 안에서 움직이도록 했음
  • 기존에는 24번 대역을 가장 많이 이용
    • IP 가 네 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 편하게 구분하기 위해 24대역 ∙ 16대역 ∙ 8대역으로 나누었음
      • /22: 1000개 정도
      • /20: 4000개 정도
  • 과거에는 IP 를 지정해서 사용하는 방식
    • 요즘은 IP 를 지정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없도록 하는 것이 모범 사례
    • 서버는 Auto Scaling 그룹에 의해서 언제든지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면서 IP 가 변하는 영역

  • RouteTable 은 동일하게 사용해야 함
    • 1개만 필요
    • Public Subnet 을 위한 RouteTable 1개
  • Private Subnetzone 만큼 생기게 됨
    • 용도별로 나누게 되면 X 용도 가 됨
  • Multy Region 서버스를 하면 VPC 분리 필수
    • VPC 는 region 에 종속적

profile
🌱 Backend-Dev | hwaya2828@gmail.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