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6기] 심화프로젝트 KPT 회고 (with 기술적 통찰 & 팀 프로젝트 경험)

박화랑·2025년 4월 29일
1

✅ Keep – 잘했던 점

  • 다른 사람의 코드를 통해 많은 인사이트 획득
    평소에는 나만의 코드에만 집중했지만, 이번에는 출중한 팀원들의 코드를 보며
    “이런 상황엔 이렇게 풀 수도 있구나!” 하는 다양한 패턴과 기술을 배울 수 있었어요.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방식에 눈이 트이는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 적극적인 코드 리뷰 문화
    단순한 기능 확인을 넘어, 설계 방향과 리팩토링 포인트까지 논의하며 협업의 질을 높였어요.
    리뷰를 통해 문제 해결력도 덩달아 성장!

  • Git을 활용한 협업
    브랜치 전략, PR 관리 등 Git 기반 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었고, 충돌 없이 흐름을 유지할 수 있었어요.

  • 테스트 코드 작성 및 커버리지 확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커버리지를 30% 이상 확보해 안정적인 개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Problem – 아쉬웠던 점

  • 코드 스타일 차이로 인한 협업 불편
    팀원 간 코드 포맷이나 네이밍 규칙이 일관되지 않아 리뷰 시간에 의사소통 비용이 생겼어요.

  • 푸시 알림 기능 구현 실패
    SSE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고 싶었지만, 시간 부족으로 인해 프로젝트에 반영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아요.

  • 기술 적용에 대한 시간적 제약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실험적 시도가 부족했고, 도전이 위축됐던 것 같아요.


🚀 Try – 다음에 시도해보고 싶은 것

  • DB vs 메모리 Grouping 벤치마크 실험하기
    다음엔 대량 데이터 처리 시,
    DB GROUP BY로 직접 묶는 방식과
    데이터를 가져와 메모리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각각 구현하여 성능 차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싶어요.

  • 주요 기능에 대한 시간 예산 미리 확보하기
    핵심 기능(예: 푸시 알림 등)을 반드시 구현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초기부터 시간 분배 전략을 명확히 세워둘 예정이에요.

  • 코드 리뷰 기준 정립 및 병합 정책 강화
    “리뷰 기준표”를 만들고, merge 전에 반드시 리뷰를 통과하도록 하는 팀 문화를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profile
개발자 희망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