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문장1; // 주석// 어떤 문장 2;두 번째 줄은 실행시키지 않기 위해 주석 처리/ 어떤문장 1;어떤문장 2; /변하지 않는 값한 번 정의하고 바뀌지 않는 값을 상수로 저장final 자료형 변수명 = 값;정수, 실수, 문자열 간의 변환(자료형) 변수명 or 값;
문자열 String 은 "큰따옴표" 사용작은따옴표는 문자 char 에 사용. ex) 'A'True가 반환됨Java라는 문자열을 s1, s2가 동시에 참조하지만 문자 비교는 이렇게 하면 안 됨! s1과 s2가 각각 따로 생성된 객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False
if (조건)⠀ ⠀ 명령문if (조건) {⠀ ⠀ 명령문 1⠀ ⠀ 명령문 2⠀ ⠀ ...}if (조건)⠀ ⠀ 명령문else⠀ ⠀ 명령문if (조건) {⠀ ⠀ 명령문...else {⠀ ⠀ 명령문...}if (조건1)⠀ ⠀ 명령문else if (조건2)⠀ ⠀ 명령문...if
케이스에 따른 분기switch (조건) {⠀ ⠀ case 값1: 명령문⠀ ⠀ ⠀ ⠀ break;⠀ ⠀ case 값2: 명령문⠀ ⠀ ⠀ ⠀ break;⠀ ⠀ ...⠀ ⠀ default: 명령문}break, default 는 생략 가능
for (선언; 조건; 증감)⠀ ⠀ 명령문for (선언; 조건; 증감) {⠀ ⠀ 명령문1⠀ ⠀ 명령문2⠀ ⠀ ...}while (조건)⠀ ⠀ 명령문while (조건) {⠀ ⠀ 명령문1⠀ ⠀ 명령문2⠀ ⠀ ...}while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계속 명령문 실행무조건 한
같은 자료형의 값 여러 개를 저장하는 연속된 공간자료형 \[] 변수명 = new 자료형크기;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크기;변수명인덱스 = 값;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 \[] {값 1, 값2, ...}; ⚠️ new 자료형 << 생략 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묶음접근제어자 반환형 메소드명(전달값) {⠀⠀명령문1⠀⠀명령문2⠀⠀...}메소드 호출 시 전달하는 값접근제어자 반환형 메소드명(전달값 ) {⠀⠀명령문1⠀⠀명령문2⠀⠀...}위 print() 는 전달값이 없는 메소드접근제어자 반환형 ⠀ 메
: 데이터와 기능을 포함하는 코드 묶음class 클래스명 {⠀⠀...}클래스 내에 선언된 변수 class 클래스명 {⠀⠀인스턴스 변수1⠀⠀인스턴스 변수2⠀⠀...}' . '으로 접근객체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음클래스 내에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모든 객체가
'자기 자신' 클래스 내에서 인스턴스 변수와 지역 변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this.인스턴스변수;객체가 생성될 때 호출되는 메소드클래스명(전달값) {⠀⠀초기화 명령문}인스턴스 변수의 값 반환반환형 get이름() {⠀⠀return 반환값;}인스턴스 변수의 값 설정void
\-접근 권한 지정접근 제어자 class 클래스명 {⠀⠀접근 제어자 인스턴스 변수⠀⠀접근 제어자 인스턴스 메소드}관련 클래스들을 그룹화(폴더)package 패키지명;만약 sample 패키지 안에 MyClass 클래스가 있다면import 패키지명.클래스명;특정 클래스(부
리스트는 배열과 비슷하지만 더 편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ex) 리스트는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정해져 있지 않음)ArrayList Vector LinkedList 등이 있다.아래 코드로 임포트 필요ArrayList 객체이름 = new ArrayList()ArrayLi
파이썬의 딕셔너리처럼 키(key)를 이용해 값(value)을 얻는다.HashMap LinkedHashMap TreeMap 등이 있다.LinkedHashMap :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저장한다.TreeMap : 입력된 key의 오름차순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맵 자료형
HashSet TreeSet LinkedHashSet 등이 있다.중복을 허용X $\\rightarrow$ 자료형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역할로 종종 사용순서X $\\rightarrow$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다TreeSet :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저장한
서로 연관 있는 여러 개의 상수 집합을 정의할 때 사용.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반복문을 사용할 경우는 아래와 같다.이때 CoffeeType.values()는 CoffeType의 배열을 리턴한다.매직 넘버를 사용할 때보다 코드가 명확하다.잘못된 값을 사용해 생길 수
변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int 자료형의 Wrapper 클래스인 Integer 이용Double.parseDouble 또는 Float.parseFloatDouble.parseDouble()을 이용해 실수로 바꾼 후 정수로 변경자료형에 값을 단 한 번만 설

chrome driver, Selenium 등 설치maven 프로젝트로 변경 등 ...ctrl + shift + o : 작성된 코드에 필요한 패키지 자동 임포트ctrl + space bar : 코드 자동완성 제안Alt + 상하 방향키 : 해당 코드를 윗줄 아랫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