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조건인 true/flase중 하나){then절}
if 조건문의 기본형태이다.
만약 if조건문안에 true를 넣고, then절에 1,2,3,4를 출력하도록 한 후, if 조건문 밖에 5를 출력하는 코드를 적어보았다.
그러면 조건문 안의 내용이 참이므로 차례로 1,2,3,4,5가 출력된다.
터미널에 5만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if절로도 다 적을 수 있지만 쓰다보면 문장이 복잡해진다. 문장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 if절과 함께 else가 많이 쓰인다. if절의 값이 true일때 then절이 실행되고, false일때 else절이 실행되는데 이를 통해 문장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if(true일 때){then절}
if(flase일 때 건너뛰고){
} else {중괄호 안이 실행됨}
점점 내용이 복잡해진다. 기본구조부터!
if(true이면) {then절 실행 }
if(false면) {then절 건너뜀
} else if(여기가 true면) {여기 then절 실행}
if(false면) {then절 건너뜀
} else if(여기가 false면) {여기 then절 건너뜀
} else {여기가 출력됨} //
처음 true가 등장한 구간이 실행되고, 그 뒤의 문장은 종료가 되기 때문에 뒤에 문장이 true여도 실행되지 않는다.else if
와 else
는 생략가능하다.
입력한 내용이 없고 입력창이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뜬다.
이런 경우에는 right
또는 wrong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해야한다.
코드실행 세모버튼을 클릭하여 Modify Run Configuration
을 누르면 새창이 뜬다.
주황색 네모칸을 누르면 입력을 위한 창이 확장되어 보이는데 여기에 값을 입력하면 된다.
right
값을 도출하기 위해 egoing
을 입력하였다. ok
를 누르고 코드를 실행해보면 콘솔창에 right
가 뜬다. 만약 if조건문에 다른 내용을 입력하면 wrong
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활코딩에 올라온 if조건문을 예제로 복습해보려한다.
args[]
는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값을 입력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LoginDemo2
^ egoing
=args[0]
^ 111111
=arg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