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사이언스와 선형대수의 관계를 알 수 있다.
- 벡터에 대한 기본 계산을 할 수 있다.
- 매트릭스에 대한 기본 계산을 할 수 있다.
- 단위행렬과 같은 특별한 매트릭스를 이해하고, 행렬식(determinant)이나 역행렬(inverse)을 계산할 수 있다.
- Numpy를 사용하여 기본 선형대수 계산을 할 수 있다.
Matrix Calculation

np.linalg.det() 

df.ndimdf.T 
np.linalg.inv()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행렬식이 0인 경우 = 2개의 행 혹은 열이 선형의 관계를 이루고 있음 → 매트릭스의 행과 열이 선형의 의존 관계가 있는 경우 매트릭스의 행렬식은 0이다.Saclar / Vector
Scalar : 단일 숫자로 실수와 정수 모두 가능하다.

Vector : n차원의 벡터는 컴포넌트라 불리는 n개의 원소를 가지는 순서를 갖는 모음
(컴포넌트는 스칼라로 간주되지 않음)

위 벡터들은 각각 2, 3, 1, 4차원을 가진다.
벡터의 길이는 벡터의 차원 수와 동일하다.
Vector의 크기( Magnitude, Norm, Length)
벡터의 크기는 단순히 길이에 지나지 않는다. ( 크기를 표현할 때 || ||를 사용)
v = [1,2,3,4]
||v|| =
||v|| =
Vector의 내적 (dot product)
두 벡터의 내적은 각 구성요소를 곱한 뒤 합한 값과 같다.
벡터 내적 코드 : `np.dot()`
❓np.dot() 과 np.matmul() 차이
np.dot() 은 배열과 스칼라의 곱을 계산하지만 np.matmul() 은 오류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