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후 복습하며 스스로 정리한 내용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이벤트 설정조건 정리
Active / Inactive / Client Event / Server Event 정의 정리
이벤트 작성시 참고사항
(웹)원티드 회원가입 모달
회원가입 전환율 높이기 위한 필요이벤트 작성
(앱)당근마켓 활동배지 기능
리텐션 높이기 위한 필요이벤트 작성
이벤트 종류
1. Client 이벤트
: 사용자의 직접적인 행동
으로 발생 (화면조회 / 로그인버튼 클릭 등)
2. Server 이벤트
: 사용자 행동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을 때 발생 (프로필 생성 완료 / 로그인 완료 등)
Any Active Event (Active상태의 이벤트)를 차트에서 활용
하기 위해서는 Server Event를 제외(Inactive)
시켜야 정확한 트랙킹이 가능합니다.
각 이벤트마다 Active(활성화) / Inactive(비활성화) 설정이 가능합니다.
실제 제공되는 웹/앱 서비스의 하나의 프로젝트(실험)단위로 가정하여 이벤트를 작성해봅니다.
유저 플로우도 함께 고려하며, 단순히 해당 페이지에 국한되는것이 아닌, 앞 뒤 플로우를 가정하여 필요한 애널리틱스를 작성해봅니다.
유저의 행동 하나에 이벤트 하나로 정의해줘야 합니다.
Event
> Property(Type)
> Value
Click-로그인-이메일입력칸
Write-로그인-이메일입력칸
Click-로그인-이메일로계속하기
Click-로그인-kakao
Click-로그인-facebook
Click-로그인-google
Click-로그인-apple
Click Login Type
(이벤트) Click Login
(프로퍼티)kakao
(벨류)apple
(벨류)google
(벨류)email
(벨류)또는
Click Login Type
(이벤트) Click Login with kakao
(이벤트) Click Login with apple
(이벤트) Click Login with google
(이벤트) Click Login with email
(이벤트) Scroll Badge-view
: 활동배지 화면 스크롤할 때 Click Badge
: 배지를 클릭했을 때 Badge names
: 각 배지별 이름나의 대표 배지
거래의 시작
거래하는 기쁨
Location Badges
: 놓여져있는 배지의 위치 0
: 메인 맨 윗칸의 배지 1
: 첫번째 칸의 배지 2
: 두번째 칸의 배지Active Type
: 활성화 여부 Active
: 활성화일때 Unactive
: 비활성화 일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