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되어 있는 정점와 정점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
로제 - 사나
⎜
제니 - 르탄
르탄이는 연결 관계를 가진 데이터, 노드입니다!
르탄과 제니는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르탄과 로제는 인접 노드 입니다!
1)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
2) 인접 리스트(Adjacnecy List): 링크드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
2 - 3
⎜
0 - 1
1. 이를 인접 행렬, 2차원 배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0 1 2 3
0 X O X X
1 O X O X
2 X O X O
3 X X O X
이걸 배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graph = [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
2. 이번에는 인접 리스트로 표현해보겠습니다!
인접 리스트는 모든 노드에 연결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차례대로 다음과 같이 저장합니다.
0 -> 1
1 -> 0 -> 2
2 -> 1 -> 3
3 -> 2
이를 딕셔너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graph = {
0: [1],
1: [0, 2]
2: [1, 3]
3: [2]
}
위 방식의 차이는 시간 VS 공간 입니다!
인접 행렬으로 표현하면 즉각적으로 0과 1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조합의 연결 여부를 저장해야 되기 때문에 만큼의 공간을 사용해야 합니다.
인접 리스트로 표현하면 즉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알 수 없고, 각 리스트를 돌아봐야 합니다. 따라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최대 만큼의 시간을 사용해야 합니다. 대신 모든 조합의 연결 여부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니 만큼의 공간을 사용하면 됩니다.
DFS : 자료의 검색, 트리나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 한 노드를 시작으로 인접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탐색해가고 끝까지 탐색하면 다시 위로 와서 다음을 탐색하여 검색한다.
BFS : 한 노드를 시작으로 인접한 모든 정점들을 우선 방문하는 방법
ex) 알파고
대국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를 계산하고 예측해서 최적의 수를 계산해내기 위해
모든 수를 전부 탐색해야 합니다.
DFS 와 BFS 는 그 탐색하는 순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DFS 는 끝까지 파고드는 것이고, BFS 는 갈라진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보고 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DFS 는 끝까지 파고드는 것이라, 그래프의 최대 깊이 만큼의 공간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공간을 적게 씁니다. 그러나 최단 경로를 탐색하기 쉽지 않습니다.
DFS는 Depth First Search 라고 했습니다!
DFS 의 반복 방식은 방문하지 않은 원소를 계속해서 찾아가면 됩니다!
DFS 의 반복 방식은 방문하지 않은 원소를 계속해서 찾아가면 됩니다!
즉, DFS(node) = node + DFS(node와 인접하지만 방문하지 않은 다른 node) 로 반복하면 됩니다.
방문하지 않았다는 조건 => visited 라는 배열에 방문한 노드를 기록해두면 될 것 같습니다.
# 위의 그래프를 예시로 삼아서 인접 리스트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graph = {
1: [2, 5, 9],
2: [1, 3],
3: [2, 4],
4: [3],
5: [1, 6, 8],
6: [5, 7],
7: [6],
8: [5],
9: [1, 10],
10: [9]
}
visited = []
#1. 시작노드인 1 부터 탐색한다.
#2. 방문한 노드를 visited_array에 추가한다.
#3. 현재 방문한 노드와 인접한 노드중 방문하지 않은 노드에 방문한다.
def dfs_recursion(adjacent_graph, cur_node, visited_array):
visited_array.append(cur_node)
for adjacent_node in adjacent_graph:
if adjacent_node not in visited_array:
dfs_recursion(adjacent_graph, adjacent_node, visited_array)
return
dfs_recursion(graph, 1, visited) # 1 이 시작노드입니다!
print(visited) # [1, 2, 3, 4, 5, 6, 7, 8, 9, 10] 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재귀함수를 통해서는 무한정 깊어지는 노드가 있는 경우 에러가 생길 수 있어 다른 방법을 써봐야 한다!
방문하지 않았다는 조건 visited 라는 배열에 방문한 노드를 기록
# 위의 그래프를 예시로 삼아서 인접 리스트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graph = {
1: [2, 5, 9],
2: [1, 3],
3: [2, 4],
4: [3],
5: [1, 6, 8],
6: [5, 7],
7: [6],
8: [5],
9: [1, 10],
10: [9]
}
#시작노드를 스택에 넣는다.
#현재 스택의 노드를 빼서 visited에 추가한다
#현재 방문한 노드와 인접한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스택에 추가한다
def dfs_stack(adjacent_graph, start_node):
stack = [start_node]
visited = []
while stack:
current_node = stack.pop()
visited.append(current_node)
for adjacent_node in adjacent_graph[current_node]:
if adjacent_node not in visited:
stack.append(adjacent_node)
return visited
print(dfs_stack(graph, 1)) # 1 이 시작노드입니다!
# [1, 9, 10, 5, 8, 6, 7, 2, 3, 4] 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BFS 는 현재 인접한 노드 먼저 방문해야 합니다.
이걸 다시 말하면 인접한 노드 중 방문하지 않은 모든 노드들을 저장해두고,
가장 처음에 넣은 노드를 꺼내서 탐색하면 됩니다.
가장 처음에 넣은 노드들..? → 큐를 이용하면 BFS 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위의 그래프를 예시로 삼아서 인접 리스트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graph = {
1: [2, 3, 4],
2: [1, 5],
3: [1, 6, 7],
4: [1, 8],
5: [2, 9],
6: [3, 10],
7: [3],
8: [4],
9: [5],
10: [6]
}
#시작노드를 큐에 넣는다.
#현재 큐의 노드를 빼서 visited에 추가한다
#현재 방문한 노드와 인접한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큐에 추가한다
def bfs_queue(adj_graph, start_node):
queue = [start_node]
visited = []
while queue:
current_node = queue.pop(0)
visited.append(current_node)
for adjacent_node in adj_graph[current_node]:
if adjacent_node not in visited:
queue.append(adjacent_node)
return visited
print(bfs_queue(graph, 1)) # 1 이 시작노드입니다!
# [1, 2, 3, 4, 5, 6, 7, 8, 9, 10] 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결론...
💡 DFS와 BFS의 개념은 비슷하다
다만 스택과 큐로 구현하는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