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locks

Hye·2023년 8월 18일
0

운영체제

목록 보기
7/11

✏️ 교착상태 (deadlock)

  • Deadlock
    •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된 상태
  • Resource (자원)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
      • ex. I/O device, CPU cycle, memory space, semaphore 등
    • 프로세스가 자원을 사용하는 절차
      • Request, Allocate, Use, Release
  • Deadlock Example 1
    • 시스템에 2개의 tape drive가 있다
    • 프로세스 P과 P2 각각이 하나의 tape drive를 보유한 채 다른 하나를 기다리고 있다
  • Deadlock Example 2
    • Binary semaphores A and B
    P0					 P1
    P(A):				P(B);
    P(B);				P(A);

✏️ Deadlock 발생의 4가지 조건

1️⃣ Mutual exclusion (상호 배제)

  • 매 순간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2️⃣ No preemption (비선점)

  • 프로세스는 자원을 스스로 내어놓을 뿐 강제로 빼앗기지 않음

3️⃣ Hold and wait (보유대기)

  •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기다릴 때 보유 자원을 놓지 않고 계속 가지고 있음

4️⃣ Circular wait (순환대기)

  •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간에 사이클이 형성되어야 함
  • 프로세스 P0, P1, ... , Pn이 있을 때
    • P0은 P1이 가진 자원을 기다림
    • P1은 P2가 가진 자원을 기다림
    • Pn-1은 Pn이 가진 자원을 기다림
    • Pn은 P0이 가진 자원을 기다림

✏️ Resource-Allocation Graph (자원 할당 그래프)


  • 그래프에 cycle이 없으면 deadlock이 아님
  • 그래프에 cycle이 있으면
    • if only one instance per resource type, then deadlock
    • if several instances per resource type, possibility of deadlock

✏️ Deadlock의 처리 방법

1️⃣ Deadlock Prevention (미연에 방지)

  • 자원 할당 시 Deadlock의 4가지 필요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지 않도록 하는 것
  • Mutual Exclusion
    • 공유해서는 안되는 자원의 경우 반드시 성립해야 함
  • Hold and Wait
    •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다른 어떤 자원도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함
    • 방법 1. 프로세스 시작 시 모든 필요한 자원을 할당받게 하는 방법
    • 방법 2. 자원이 필요할 경우 보유 자원을 모두 놓고 다시 요청
  • No Preemption
    • process가 어떤 자원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 이미 보유한 자원이 선점됨
    • 모든 필요한 자원을 얻을 수 있을 때 그 프로세스는 다시 시작된다
    • State를 쉽게 save하고 restore할 수 있는 자원에서 주로 사용 (CPU, memory)
  • Circular Wait
    • 모든 자원 유형에 할당 순서를 정하여 정해진 순서대로만 자원 할당
    • 예를 들어 순서가 3인 자원 RiR_i를 보유 중인 프로세스가 순서가 1인 자원 RjR_j을 할당받기 위해서는 우선 RiR_i를 release해야 함

→ Utilization 저하, throughput 감소, starvation 문제

2️⃣ Deadlock Avoidance (미연에 방지)

  • 자원 요청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해서 deadlock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safe)에만 자원을 할당

  • 시스템 state가 원래 state로 돌아올 수 있는 경우에만 자원 할당

  • 가장 단순하고 일반적인 모델은 프로세스들이 필요로 하는 각 자원별 최대 사용량을 미리 선언하도록 하는 방법

  • safe state

    •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들에 대한 safe sequence가 존재하는 상태
  • safe sequence

    • 프로세스의 sequence <P1P_1, P2P_2, ..., PnP_n>이 safe하려면 PiP_i (1 ≤ i ≤ n)의 자원 요청이 '가용 자원 + 모든 PjP_j (j < i)의 보유 자원' 에 의해 충족되어야 함
    • 조건을 만족하면 다음 방법으로 모든 프로세스의 수행을 보장
      - Pi의 자원 요청이 즉시 충족될 수 없으면 모든 Pj(j < i)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림
      - Pi-1이 종료되면 Pi의 자원요청을 만족시켜 수행한다
  • 시스템이 safe state에 있으면
    → no deadlock

  • 시스템이 unsafe state에 있으면
    possibility of deadlock

  • Deadlock Avoidance

    • 시스템이 unsafe state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보장
    • 2가지 경우의 avoidance 알고리즘
      • Single instance per resource types
        • Resource Allocation Graph algorithm 사용
      • Multiple instances per resource types
        • Banker's Algorithm 사용

📌 Resource Allocation Graph algorithm

  • Claim edge PiP_iRjR_j
    • 프로세스 PiP_i가 자원 RjR_j를 미래에 요청할 수 있음을 뜻함 (점선으로 표시)
    •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 요청시 request edge로 바뀜 (실선)
    • RjR_j가 release되면 assignment edge는 다시 claim edge로 바뀜
  • request edge의 assignment edge 변경시 (점선을 포함하여) cycle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만 요청 자원을 할당
  • Cycle 생성 여부 조사시 프로세스의 수가 n일 때 O(n2)O(n^2) 시간이 걸린다

📌 Banker's Algorithm

  • 가정
    • 항상 최악의 상황을 가정
    • 모든 프로세스는 자원의 최대 사용량을 미리 명시
    • 프로세스가 요청 자원을 모두 할당받은 경우 유한 시간 안에 이들 자원을 다시 반납한다
  • 방법
    • 기본 개념 : 자원 요청시 safe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만 할당
    • 총 요청 자원의 수가 가용 자원의 수보다 적은 프로세스를 선택 (그런 프로세스가 없으면 unsafe 상태)
    • 그런 프로세스가 있으면 그 프로세스에게 자원을 할당
    • 할당받은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모든 자원을 반납
    •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이러한 과정 반복

      → P1 request (1, 0, 2)

3️⃣ Deadlock Detection and recovery

  • Deadlock 발생은 허용하되 그에 대한 detection 루틴을 두어 deadlock 발견시 recover

  • Deadlock Detection

    • Resource type 당 single instance인 경우
      • 자원할당 그래프에서의 cycleol 곧 deadlock을 의미
    • Resource type 당 multiple instance인 경우
      • Banker's algorithm과 유사한 방법 활용
  • Wait-for graph 알고리즘

    • Resource type 당 single instance인 경우
    • Wait-for graph
      • 자원할당 그래프의 변형
      • 프로세스만으로 node 구성
      • PjP_j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PkP_k가 기다리는 경우 PkP_kPjP_j
    • Algorithm
      - Wait-for graph에 사이클이 존재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조사
      - O(n2)O(n^2)
  • Recovery

    • Process termination
      • Abort all deadlocked processes
      • Abort one process at a time until the deadlock cycle is eliminated
    • Resource Preemption
      • 비용을 최소화할 victim의 선정
      • safe state로 rollback하여 process를 restart
      • Starvation 문제
        • 동일한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victim으로 선정되는 경우
        • cost factor에 rollback 횟수도 같이 고려

4️⃣ Deadlock Ignorance

  • Deadlock을 시스템이 책임지지 않음
  • Deadlock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음
    • Deadlockol 매우 드물게 발생하므로 deadlock에 대한 조치 자체가 더 큰 overhead일 수 있음
    • 만약, 시스템에 deadlock이 발생한 경우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사람이 느낀 후 직접 process를 죽이는 등의 방법으로 대처
  • UNIX, Windows 등 대부분의 범용 OS가 채택

참고자료
KOCW,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profile
공부중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