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분류
- 컴퓨터를 사용목적, 처리능력, 취급 데이터에 따라 분류를 할 것이다.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전용 컴퓨터
- Special-purpose computer
- Single-purpose computer
범용 컴퓨터
- General-purpose computer로 불림
처리능력에 따른 분류
- 크기와 성능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였다.
Super-computer
Mainframe
- 은행, 정부기관, 대학에서 사용
- 안정성이 중요한 금융권에서는 최근까지도 Mainframe 기반인 경우가 많음
Minicomputer
- Mainframe에서 크기와 성능이 감소한 형태로 역할은 비슷함
- 최초의 minicomputer는: 1964년 DEC가 개발한 PDP-8
- 기업제, 학교, 연구소에서 사용
Workstation
- PC 규모에 minicomputer 수준의 성능을 집약시키려는 시도함
- High-end PC 발전에 따라 위치가 모호해짐
PC(Micro computer)
취급 데이터에 따른 분류
- digital computer: digital data를 다루는 computer, 오늘날 대부분의 computer, 주로 사칙연산과 논리회로 사용
- analog computer: analog data를 다루는 computer, 오늘날 거의 보기 어려우며 일부 분야에서 embedded computer가 대체, 중폭회로로 구성되어 주로 미적분 연산 수행
- hybrid computer도 있으나 analog computer와 같이 주류는 아님
컴퓨터의 주요 구성요소
Hardware
-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기계장치로 다음과 같이 5대 기본 장치들로 구성됨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Primary memory에서 instruction(명령어)를 하나씩 가져와 해독하여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는 device
- 기본적인 logical/arithmetic operation을 수행
Primary Memory
- 컴퓨터에서 수행할 프로그램과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 CPU와 데이터를 주고받음
Secondary Memory
- 당장 수행하지 않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
- Primary memory보다 대용량이며 access에 걸리는 시간이 긴 특징을 가짐
- data나 program을 외부로부터 컴퓨터로 읽어들이는 역할 수행
- e.g: 키보드, 마우스 등
Output Device
-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
- e.g. 모니터, 프린터 등
Software
- H/W를 윤용하고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럄
- 크게 System SW와 Application으로 나뉜다.
System S/W
- 컴퓨터와 사용자 중간에서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W
- HW에 대한 이해 없이도 컴퓨터를 유용허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줌
- OS가 대부분의 분야를 처리
- e.g. OS, Language Translation PG, Utility PG
Application
- 특정한 용도에 맞게 활용하기 위한 SW
-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용도를 직접적으로 만족시켜주기 위한 프로그램
- e.g. Word processor, Spreadsheet, Presentation, Database, Graphic SW, DTP, Statistic SW, Design SW
reference
1. mainframe wikipedia
2.CE mkd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