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금 늦었지만 내년 3월부터 9개월간 (약 12월까지) 진행하는 애플디벨로퍼 아카데미 3기를 준비하고 합격하였다.3기 같은 경우는 기존과는 다르게 batch 1, batch 2로 나누어 두번에 걸쳐 뽑게 되었는데, batch1에 합격하여 이렇게 후기를 남기게 되었다.
아카데미 NC2 프로젝트때의 미션인 2주만에 키트를 공부하고, 프로젝트완성하기의 일환으로 ARKit, SceneKit 를 배웠습니다. (참고로 아카데미가 끝난 후 앱이 배포 완료된 상태입니다) 이때 정리해서 아카데미내에 공유했던 글을 정리해서 배포합니다 :) 총 5편+

ARSCNView 클래스는 가상 3D 콘텐츠와 현실 세계의 기기 카메라 뷰를 혼합하는 증강 현실 경험을 만들기 위해 쓰이는 클래스입니다. 뷰에 제공된 ARSession 객체를 실행하면 sceneView는 자동으로 아이폰의 카메라 촬영장면을 앱의 배경으로 렌더링합니다.

ARSCNView 클래스는 가상 3D 콘텐츠와 현실 세계의 기기 카메라 뷰를 혼합하는 증강 현실 경험을 만들기 위해 쓰이는 클래스입니다. 뷰에 제공된 ARSession 객체를 실행하면 sceneView는 자동으로 아이폰의 카메라 촬영장면을 앱의 배경으로 렌더링합니다.

제스쳐를 활용하는 예시 두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첫번째는 탭제스쳐를 통해 노드를 찾아서 숨기는 기능입니다. 노드가 만약 프로젝트에서처럼 불꽃이라면 노드를 숨김으로써 불꽃이 꺼지고 켜지는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코드줄에서 sceneView에서의 제스쳐의

유사한 과정을 거칩니다. 다만 여기서는 불꽃노드가 Feu01 부터 Feu64까지 복잡한 노드구성임을 확인했기 때문에 for 문을 통해 해당 노드들을 찾고 노드를 on/off 하는 로직으로 구성했습니다.

두번째 제스쳐인 팬 제스쳐 코드입니다. 마찬가지로 최상단 노드를 찾아 selectedNode로 설정하는 것은 같으나 오브젝트 전체를 드래그 즉 팬제스쳐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최상단 노드를 찾는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추가로 자식노드를 찾는과정은 없습니다. 최상단 노
공식문서를(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cenekit3D 게임을 만들고 앱에 3D 콘텐츠를 추가하고 애니메이션, 물리 시뮬레이션, 파티클 효과 및 사실적인 물리 기반 렌더링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class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기본적으로 UIkit 를 사용하므로 UIkit 에서 어떻게 핸드제스쳐를 이용하는지와 오브젝트를 제스쳐로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제스쳐를 인식하기 위한 제스쳐 recognizer을 viewDidLoad 부분에 올린 후, 해당 제스쳐가 인식되었을때
ARKit 으로 세션을 설정하고 시작하는 과정 : ARWorldTrackingConfiguration을 사용하여 객체 감지를 설정하고 ARSCNView의 세션을 시작하는 코드조각 입니다.추가 설정으로 객체를 감지하고, 디바이스의 위치와 방향을 추적하고, 감지된 객체를
오브젝트를 올리는 코드조각
(Optional) 기술 참고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