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최근 몇 년간 파이썬을 가장 많이 쓰게 되었다. 파이썬을 쓰는 시간이 길어지기도 하고 여러 오픈 소스를 보다보니 파이썬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는 생각이 들어 레퍼런스를 읽어보기로 했다.정리는 나중에 읽더라도 이해가 되도록 정리하도록 노력한다.레퍼런스를 읽으며,
파이썬 스크립트의 첫 번째나 두 번째 줄에 있는 주석이 정규식 coding\[=:]\\s\*(\[-\\w.]+) 과 매치되면, 이 주석은 인코딩 선언으로 처리된다. 이 정규식의 첫 번째 그룹은 소스 코드 파일의 인코딩 이름을 지정한다. 인코딩 선언은 줄 전체에서 하나만
역 슬래시(\\) 문자는 혼자 쓰이면 프로그래밍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들을 escape할 때 사용된다.문자열과 변수를 결합할 때, 중괄호 {}를 사용하여 변수를 치환할 수 있다.다른 문자열 리터럴은 항상 상수이지만, 포맷 문자열 리터럴은 실행시간에 계산되는 표현
파이썬 연산자, 산술연산자, 비트연산자, 논리연산자,
파이썬 프로그램의 모든 데이터는 객체이거나 객체 간의 관계로 표현될 수 있다. 모든 객체는 아이덴티티(identity), 형(type), 값(value)을 갖는다. 또한, 변수를 할당하는 작업은 이러한 객체를 참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객체의 아이덴티티(iden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