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회사의 테스트 환경을 개선하고자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하던 중,
Firebase App Distribution을 도입해보게 되었다.
이 포스팅에서는 도입 배경부터 적용 방법, 그리고 활용 후기까지 정리해본다.
기존에는 하나의 패키지명 안에서
debug
, release
로 빌드 타입을 구분하여 개발/운영 서버를 나눠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 업무에 투입되고 테스트를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
➡ 결국, 개발/운영 패키지 분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이 시점에서 패키지명을 분리했다.
패키지를 분리하고 나니,
이제 이 개발 서버용 앱을 어떻게 내부에 배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생겼다.
처음에는 Google Play Console에서 개발용 앱을 따로 등록하고,
[내부 테스트] 기능을 활용해 배포하는 방법을 고려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발견한 게 바로 Firebase App Distribution이었다.
.aab
파일 업로드 시 Google Play Console 연동도 가능Firebase 설정이 이미 되어 있다면,
패키지명에 따라 google-services.json
만 잘 적용해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나는 Android 기준
productFlavors
를 사용해 패키지명을 분리했다.
iOS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며, 별도 프로비저닝 프로파일만 준비하면 됐다.
Firebase는 하나의 프로젝트에 여러 패키지를 등록해 관리할 수 있다.
App Testing Agent는 아래와 같이 App Distribution 내부에서 활성화할 수 있다.
App Distribution을 통해 배포한 앱은 버전별로 Summary 확인이 가능하다.
초대받은 테스터는 아래와 같은 메일을 받으며,
모바일에서 열면 즉시 설치 가능한 페이지로 연결된다.
Firebase App Distribution은 테스트 앱 배포 과정을 간편하게 만들어주고,
협업 부서와의 테스트 효율도 높여준다.
테스트 환경을 운영 중이거나 APK 전달 방식에 고민이 있다면,
한 번쯤 도입을 고려해볼 만한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