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과 Hamcrest

Junit3 java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며 TDD의 근간이 되는 프레임워크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개발되며 지금도 꾸준히 버전업을 하고 있다. 제공 기능 > 테스트 결과가 예상과 같은지 판별해주는 단정문(assertions) 여러 테스트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스트 픽스처(test fixture)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러너(test runner) 단정문(assertison) > 1. assertEqulas([message], expected, actual) assertTrue([message], expected) / assertFasle([message], expected) assertNull([message], expected) / assertNutNull([message], expected) assertEquals 구현 기타 assertEquals 오차

2021년 11월 23일
·
0개의 댓글
·

테스트 주도 개발

Ch1. 테스트 주도 개발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은 개발자 자신의 두뇌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작성자의 판단'에 근거한 개발은 오류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시간이 지나 코드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 수록 버그 수정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정리하자면, 전통적인 개발 및 테스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볼 수 있다. > 1. 특정 모듈의 개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발자의 목표의식이 흐려진다. 작업 분량이 늘어날수록 확인이 어려워진다. 논리적 오류를 찾기가 어렵다. 코드의 사용 방법과 변경 이력을 개발자의 기억력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테스트 케이스가 적혀 있는 엑셀 파일을 보며 매번 테스트를 실행하는게 점점 귀찮아져서는 점차 간소화 하는 항목들이 늘어난다. 등등,, TDD, 테스트 주도 개발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를 먹저 작성하는 것 테스트 주도 개발의 목표는 '잘 동작하는 깔끔한 코드'이

2021년 11월 22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