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와 같이 ObjectError와 FieldError를 구분한다음 각각 구체적인 메시지부터 범용적인 메시지로 단계를 올린다.
Empty, 공백 같은 단순한 기능만 제공
if(!(StringUtils.hasText(item.getItemName)))){ bindingResult.rejectValue("itemName", "required"); }
위의 함수를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alidationUtils.rejectIfEmptyOrWhitespace(bindingResult, "itemName", "required");
검증 오류 코드는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개발자가 직접 설정한 오류 코드 -> rejectValue()를 직접 호출
2. Spring에서 직접 검증 오류에 추가한 경우 (주로 Type 관련)
참고 : Spring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