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시작하기

:-)·2022년 4월 24일
1

😺 Git & GitHub

목록 보기
4/5
post-thumbnail

📝 1. 사용자 정보 설정

Git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버전 관리 도구이다.
따라서 작업을 할 때 누구의 작업인지 기록해야 한다.

Git에서는 commit을 할 때 사용할 이름과 이메일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 때 commit에 기록된 이메일은 GitHub의 사용자를 연결할 때도 사용된다.

❗❗ 처음 git을 설치한 후 한 번만 실행하면 된다.


1. git bash 실행



2. 사용자 이름, 이메일 등록하기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Here"

“Your Name Here” 에 사용자 이름 (github의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yourmail.com"

"your_email@yourmail.com"에는 GitHub 가입할 때 사용한 이메일을 적고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global 옵션은 현재 시스템에서 기본값으로 사용자 설정할 때 쓰는 옵션이다.
( ❗❗ --global 옵션으로 설정하는 것은 딱 한 번만 하면 된다. )

만약 프로젝트마다 다른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싶으면 
--global 옵션을 빼고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3. 사용자 정보 설정 확인하기

git config --list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설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2. 온라인 저장소(remote repository) 생성

Git의 원격저장소 즉 GitHub의 저장소를
리모트 레포지토리(remote repository)라고 한다.

1. github.com 로그인 후 Repositories -> New 클릭



2. 저장소 생성하기

  • 필수여부설명
    Repository name필수저장소의 이름
    Description(선택)저장소에 대한 설명
    Public, Private필수저장소 공개 여부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선택)README.md 파일 생성 여부
    Add .gitignore(선택)github에서 관리하지 않을 파일 선택
    Add a license(선택)license 파일 추가 (ex. 저작권)
    - 이 프로젝트가 어떤 라이센스에 속할지 선택
  • README 파일은 저장소를 소개하는 텍스트 파일이다.

Create repository 클릭 후 이 화면이 보이면 저장소가 생성된 것이다.

❗ 빨간 박스로 표시해 둔 곳이 저장소의 주소이므로 복사해 둔다.





📝 3.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생성

본인의 컴퓨터에 저장소를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라고 한다.

온라인과 로컬 저장소들은 오로지 저장소일 뿐 작업 공간이 아니다.
실제 작업공간은 컴퓨터이기 떄문에 로컬 디렉토리에 만들 저장소에 실제로 미러링해야 한다.

1. local repository 생성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

  • 저장소로 등록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폴더로 경로로 이동
    ->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실행

2. git을 초기화 시켜 로컬 저장소 생성

git init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폴더를 로컬 저장소로 초기화 한다는 의미로
git의 버전관리가 가능한 폴더로 지정된다.

  • 2-1. 로컬 저장소 상태 확인

git status

로컬 저장소 상태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on branch master - 이 프로젝트는 master branch 상에 있다.
No commits yet ,
nothing added to commit - 커밋 내역이 없다.
Untracked files - git add나 git commit을 하지 않았기에 Untracked 상태인 파일을 가리킨다.

  • Untracked files는 git에 의해 아직 추적되지 않고있는 파일이다.

3. Untracked file을 버전관리 대상으로 추가하기

untracked file은 버전관리 대상파일이 아니다.
그래서 이 파일을 버전관리의 대상으로 추가하기 위해 git add를 해야 한다.

git add .

이 곳에 있는 '모든' 파일을 add한다는 명령어이다.

❗❗ commit을 하기 전 꼭 커밋할 파일을 git add 해야한다. ❗❗

( add 뒤에 ' . ' 은 '모든' 파일을 의미한다.
만약 특정 파일만 add할 경우 'git add 파일이름' 을 입력하면 된다. )

add 후 로컬 저장소 상태를 확인하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commit할 수 잇는 상태가 된 것이다.

4. commit 하기

git commit -m "커밋에 대한 정보"

-m 은 메세지 옵션으로 " "에 해당 commit을 설명하는 내용을 입력을 해야한다.

어느 부분을 수정했는지 등의 주석 같은 것을 적은 후 커밋하는 것이다.

git status 상태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로컬 저장소의 생성이 완료되었다.





📝 4. 로컬 저장소와 온라인 저장소 연결하기

GitHub에 생성한 온라인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하기 위해서 저장소의 URL가 필요하다.

온라인 저장소를 생성한 화면에서 push 부분을 한 줄씩 입력해주면 된다.

🔥 git bash에서 일반적인 복붙 단축키 ctrl c, ctrl v는 사용할 수 없다. 🔥

❗❗ git bash에서 복붙 단축키 ❗❗

  • 복사하기 - ctrl + insert
  • 붙여넣기 - shift + insert

1. [ git remote add origin 자기주소 ]

git remote add origin 자기주소

git remote -v

git remote -v 명령어를 입력하면 fetch와 push가 가능한 온라인 저장소를 추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git push

git push는 현재 로컬 저장소의 파일을 온라인 저장소로 올리는 작업을 말한다.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순서대로 입력하면 온라인 저장소와 동기화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후 github에 들어가면 파일이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