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version
👉 정상이라면 이런 식으로 버전이 표시된다
git version 2.51.0.windows.1
👉 “내가 만든 커밋이 누구 것인지” 표시해주는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이메일@example.com"
(이메일은 GitHub 계정에 등록된 이메일을 사용하는 걸 추천)
혹은 아무 터미널에서
cd 프로젝트폴더경로
git init
👉 이 명령은 현재 폴더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한다.
(폴더 안에 .git이라는 숨김 폴더가 생긴다.)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git add . : 모든 파일을 Git에 추적하도록 추가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첫 커밋 메시지 작성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는 체크 X
(이미 로컬에 Git 초기화가 되어 있기 때문)
👉 .gitignore는 코드 업로드 전 로컬 저장소에서 만드는 것 추천!!
(갓 프로젝트 파일을 만든 거면 상관 없지만 node_modules가 생긴 상태면 .gitignore을 안 만들고 깃허브에 업로드 하면 쓸 데 없는 파일까지 다 업로드 되어버린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이름/my-project.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 GitHub에서 새 저장소를 만들면
위처럼 안내 문구가 나온다. (복사해서 터미널에 붙여넣기!!)
👉 https:// 다음은 본인 깃허브 리퍼지토리 주소로 바꿔주기
VS Code 내 세 번째 메뉴 "Source Control"에서 "Publish to GitHub" 눌러서 깃허브 로그인 해주기
명령이 끝나면 GitHub에 들어가서 새로고침하면 프로젝트 파일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다!
👉 나는 6번 로그인을 안 하고 publish를 안 눌러줬더니 안 올라갔었다. 깃허브 처음 연결하는 거라면 잊지 말기!
